격의 용법

조회 수 11855 추천 수 0 2023.09.08 14:12:14
제목 작성자 날짜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 1. 주어 ====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 보어 ====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lk:sum]] 동사와 [[lk: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명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 1. 소유의 속격 ====

소유의 속격(Genitivus possessivus)은 꾸며주는 명사의 소유주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뜻합니다. 이 경우 sum동사의 보어로 쓰이기도 하고, 꾸며주는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의 것'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naves '''Marii''' // : 마리우스의 배

> //naves sunt '''Marii'''.// : 그 배는 마리우스의 것이다.

==== 2. 특성의 속격 ====

[[lk:sum]] 동사와 함께 쓰여서 해당 대상이 가지는 필연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를 특성의 속격(//Genitivus characteristicus//)이라고 합니다.

> // '''Cuiusvis homonis''' est errare.// (키케로)
아무 사람에게나 실수하는 것은 있다. =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수한다.

'''3. 부분의 속격'''

부분의 속격(//Genitivus partitivus//)은 전체 중 일부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말합니다. 이 경우 대게 '~중'으로 해석됩니다.

> 1) [[lk:pars]](부분), [[lk:dimidium]](절반), [[lk:multitudo]](다수)의 명사와 함께 쓰임

>> //pars '''hominum''' //: 사람들 중 일부

> 2) 비교급이나 최상급과 함께 쓰임

> 3) 수사와 함께 쓰임

> 4) [[lk:nemo]](누구도 ~않다)와 함께 쓰임


'''4. 질의 속격'''

소유 관계는 아니지만, 꾸며주는 명사의 특질을 보충하는 속격의 용법을 질의 속격(//Gentivus qualitatis//)라고 합니다. 이 경우 꾸밈을 받는 명사와 속격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 1) 수량의 속격(//Genitivus quantitatis//)

>> 특정 단위와 함께 쓰여서 그 양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 //<b>argenti</b> pondo <b>viginti milia</b> //: 20000개 은의 파운드(= 은 20000파운드)

> 2) 설명의 속격(//Genitivus explicativus//)

>> 꾸며주는 명사를 부연설명하는 속격으로, '~라는'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urbs '''Romae''' // : 로마라는 도시

> 3) 주체의 속격(//Genitivus subiectivus//)

>> 의미상으로 속격이 주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 '''avium '''cantus//: 새들의 노래 (새들이 노래함)

> 4) 객체의 속격(//Genitivus obiectivus//)

>> 의미상으로 속격이 목적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amor '''patris''' //: 아버지에 대한 사랑 (아버지를 사랑함)

> 5) 제한의 속격(//Genitivus limitationis//)

>> 꾸며주는 명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aeger '''timoris''' //: 두려움의 병 (병 중에서 두려움에 대한 병만을 가리키도록 제한함)



=== 동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기억의 속격'''

기억과 관련된 동사들은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memoriae//)

> [[lk:memini]], [[lk:admoneo]], [[lk:reminiscor]], [[lk:obliviscor]]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2. 가치의 속격'''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pretii//)

+ 객관적인 가치(가격 등)의 경우는 탈격을 사용합니다.

> [[lk:sum]], [[lk:sto]], [[lk:aestimo]], [[lk:puto]], [[lk:habeo]], [[lk:emo]], [[lk:vendo]], [[lk:faci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3. 범죄의 속격'''

범죄에 관한 혐의를 나타낼때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criminis//)

> [[lk:accuso]], [[lk:dmno]], [[lk:condemno]], [[lk:libero]], [[lk:absolv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4. 영향의 속격'''

일부 비인칭 동사의 경우 영향을 주는 주체를 속격으로 취합니다. (//Genitivus ad verba affectuum//)

> //me '''tui''' pudet.// : 나는 너 때문에 부끄럽다. (너는 나를 부끄럽게 한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탈격이 가지고 있는 뜻은 ablative라는 단어(ab + latus)에서 볼수 있듯이 기본적으로 분리와 멀어짐입니다. 하지만 인도유럽어의 8격중 처소격과 도구격 등이 탈격에 합류하고 여러 용법이 생기면서 탈격이 다양하게 사용되게 되었죠. 대게 이러한 탈격의 용법들은 '''명사를 부사처럼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전반적인 경향을 설명하자면, 주로 대격이 이동하는 방향이나 동적인 것을 나타낸다면, 탈격은 멀어지는 방향이나 정적인 것을 나타냅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탈격의 용법을 종류별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호격 ==
bab2min 2019.08.27 01:50:51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1. 주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lk:sum]] 동사와 [[lk: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명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소유의 속격'''

소유의 속격(Genitivus possessivus)은 꾸며주는 명사의 소유주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뜻합니다. 이 경우 sum동사의 보어로 쓰이기도 하고, 꾸며주는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의 것'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naves '''Marii''' // : 마리우스의 배

> //naves sunt '''Marii'''.// : 그 배는 마리우스의 것이다.

'''2. 특성의 속격'''

[[lk:sum]] 동사와 함께 쓰여서 해당 대상이 가지는 필연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를 특성의 속격(//Genitivus characteristicus//)이라고 합니다.

> // '''Cuiusvis homonis''' est errare.// (키케로)
아무 사람에게나 실수하는 것은 있다. =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수한다.

'''3. 부분의 속격'''

부분의 속격(//Genitivus partitivus//)은 전체 중 일부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말합니다. 이 경우 대게 '~중'으로 해석됩니다.

> 1) [[lk:pars]](부분), [[lk:dimidium]](절반), [[lk:multitudo]](다수)의 명사와 함께 쓰임

>> //pars '''hominum''' //: 사람들 중 일부

> 2) 비교급이나 최상급과 함께 쓰임

> 3) 수사와 함께 쓰임

> 4) [[lk:nemo]](누구도 ~않다)와 함께 쓰임


'''4. 질의 속격'''

소유 관계는 아니지만, 꾸며주는 명사의 특질을 보충하는 속격의 용법을 질의 속격(//Gentivus qualitatis//)라고 합니다. 이 경우 꾸밈을 받는 명사와 속격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 1) 수량의 속격(//Genitivus quantitatis//)

>> 특정 단위와 함께 쓰여서 그 양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 //<b>argenti</b> pondo <b>viginti milia</b> //: 20000개 은의 파운드(= 은 20000파운드)

> 2) 설명의 속격(//Genitivus explicativus//)

>> 꾸며주는 명사를 부연설명하는 속격으로, '~라는'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urbs '''Romae''' // : 로마라는 도시

> 3) 주체의 속격(//Genitivus subiectivus//)

>> 의미상으로 속격이 주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 '''avium '''cantus//: 새들의 노래 (새들이 노래함)

> 4) 객체의 속격(//Genitivus obiectivus//)

>> 의미상으로 속격이 목적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amor '''patris''' //: 아버지에 대한 사랑 (아버지를 사랑함)

> 5) 제한의 속격(//Genitivus limitationis//)

>> 꾸며주는 명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aeger '''timoris''' //: 두려움의 병 (병 중에서 두려움에 대한 병만을 가리키도록 제한함)



=== 동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기억의 속격'''

기억과 관련된 동사들은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memoriae//)

> [[lk:memini]], [[lk:admoneo]], [[lk:reminiscor]], [[lk:obliviscor]]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2. 가치의 속격'''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pretii//)

+ 객관적인 가치(가격 등)의 경우는 탈격을 사용합니다.

> [[lk:sum]], [[lk:sto]], [[lk:aestimo]], [[lk:puto]], [[lk:habeo]], [[lk:emo]], [[lk:vendo]], [[lk:faci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3. 범죄의 속격'''

범죄에 관한 혐의를 나타낼때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criminis//)

> [[lk:accuso]], [[lk:dmno]], [[lk:condemno]], [[lk:libero]], [[lk:absolv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4. 영향의 속격'''

일부 비인칭 동사의 경우 영향을 주는 주체를 속격으로 취합니다. (//Genitivus ad verba affectuum//)

> //me '''tui''' pudet.// : 나는 너 때문에 부끄럽다. (너는 나를 부끄럽게 한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탈격이 가지고 있는 뜻은 ablative라는 단어(ab + latus)에서 볼수 있듯이 기본적으로 분리와 멀어짐입니다. 하지만 인도유럽어의 8격중 처소격과 도구격 등이 탈격에 합류하고 여러 용법이 생기면서 탈격이 다양하게 사용되게 되었죠. 대게 이러한 탈격의 용법들은 '''명사를 부사처럼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전반적인 경향을 설명하자면, 주로 대격이 이동하는 방향이나 동적인 것을 나타낸다면, 탈격은 멀어지는 방향이나 정적인 것을 나타냅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탈격의 용법을 종류별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호격 ==
bab2min 2019.08.27 01:49:13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1. 주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lk:sum]] 동사와 [[lk: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명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소유의 속격'''

소유의 속격(Genitivus possessivus)은 꾸며주는 명사의 소유주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뜻합니다. 이 경우 sum동사의 보어로 쓰이기도 하고, 꾸며주는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의 것'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naves '''Marii''' // : 마리우스의 배

> //naves sunt '''Marii'''.// : 그 배는 마리우스의 것이다.

'''2. 특성의 속격'''

[[lk:sum]] 동사와 함께 쓰여서 해당 대상이 가지는 필연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를 특성의 속격(//Genitivus characteristicus//)이라고 합니다.

> // '''Cuiusvis homonis''' est errare.// (키케로)
아무 사람에게나 실수하는 것은 있다. =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수한다.

'''3. 부분의 속격'''

부분의 속격(//Genitivus partitivus//)은 전체 중 일부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말합니다. 이 경우 대게 '~중'으로 해석됩니다.

> 1) [[lk:pars]](부분), [[lk:dimidium]](절반), [[lk:multitudo]](다수)의 명사와 함께 쓰임

>> //pars '''hominum''' //: 사람들 중 일부

> 2) 비교급이나 최상급과 함께 쓰임

> 3) 수사와 함께 쓰임

> 4) [[lk:nemo]](누구도 ~않다)와 함께 쓰임


'''4. 질의 속격'''

소유 관계는 아니지만, 꾸며주는 명사의 특질을 보충하는 속격의 용법을 질의 속격(//Gentivus qualitatis//)라고 합니다. 이 경우 꾸밈을 받는 명사와 속격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 1) 수량의 속격(//Genitivus quantitatis//)

>> 특정 단위와 함께 쓰여서 그 양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 //<b>argenti</b> pondo <b>viginti milia</b> //: 20000개 은의 파운드(= 은 20000파운드)

> 2) 설명의 속격(//Genitivus explicativus//)

>> 꾸며주는 명사를 부연설명하는 속격으로, '~라는'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urbs '''Romae''' // : 로마라는 도시

> 3) 주체의 속격(//Genitivus subiectivus//)

>> 의미상으로 속격이 주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 '''avium '''cantus//: 새들의 노래 (새들이 노래함)

> 4) 객체의 속격(//Genitivus obiectivus//)

>> 의미상으로 속격이 목적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amor '''patris''' //: 아버지에 대한 사랑 (아버지를 사랑함)

> 5) 제한의 속격(//Genitivus limitationis//)

>> 꾸며주는 명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aeger '''timoris''' //: 두려움의 병 (병 중에서 두려움에 대한 병만을 가리키도록 제한함)



=== 동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기억의 속격'''

기억과 관련된 동사들은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memoriae//)

> [[lk:memini]], [[lk:admoneo]], [[lk:reminiscor]], [[lk:obliviscor]]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2. 가치의 속격'''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pretii//)

+ 객관적인 가치(가격 등)의 경우는 탈격을 사용합니다.

> [[lk:sum]], [[lk:sto]], [[lk:aestimo]], [[lk:puto]], [[lk:habeo]], [[lk:emo]], [[lk:vendo]], [[lk:faci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3. 범죄의 속격'''

범죄에 관한 혐의를 나타낼때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criminis//)

> [[lk:accuso]], [[lk:dmno]], [[lk:condemno]], [[lk:libero]], [[lk:absolv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4. 영향의 속격'''

일부 비인칭 동사의 경우 영향을 주는 주체를 속격으로 취합니다. (//Genitivus ad verba affectuum//)

> //me '''tui''' pudet.// : 나는 너 때문에 부끄럽다. (너는 나를 부끄럽게 한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1:46:39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1. 주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lk:sum]] 동사와 [[lk: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명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소유의 속격

소유의 속격(Genitivus possessivus)은 꾸며주는 명사의 소유주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뜻합니다. 이 경우 sum동사의 보어로 쓰이기도 하고, 꾸며주는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의 것'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naves '''Marii''' // : 마리우스의 배

> //naves sunt '''Marii'''.// : 그 배는 마리우스의 것이다.

2. 특성의 속격

sum 동사와 함께 쓰여서 해당 대상이 가지는 필연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를 특성의 속격(//Genitivus characteristicus//)이라고 합니다.

> // '''Cuiusvis homonis''' est errare.// (키케로)
아무 사람에게나 실수하는 것은 있다. =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수한다.

3. 부분의 속격

부분의 속격(//Genitivus partitivus//)은 전체 중 일부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말합니다. 이 경우 대게 '~중'으로 해석됩니다.

> 1) [[lk:pars]](부분), [[lk:dimidium]](절반), [[lk:multitudo]](다수)의 명사와 함께 쓰임

>> //pars '''hominum''' //: 사람들 중 일부

> 2) 비교급이나 최상급과 함께 쓰임

> 3) 수사와 함께 쓰임

> 4) [[lk:nemo]](누구도 ~않다)와 함께 쓰임


4. 질의 속격
소유 관계는 아니지만, 꾸며주는 명사의 특질을 보충하는 속격의 용법을 질의 속격(//Gentivus qualitatis//)라고 합니다. 이 경우 꾸밈을 받는 명사와 속격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 1) 수량의 속격(//Genitivus quantitatis//)

>> 특정 단위와 함께 쓰여서 그 양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 //<b>argenti</b> pondo <b>viginti milia</b> //: 20000개 은의 파운드(= 은 20000파운드)

> 2) 설명의 속격(//Genitivus explicativus//)

>> 꾸며주는 명사를 부연설명하는 속격으로, '~라는'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urbs '''Romae''' // : 로마라는 도시

> 3) 주체의 속격(//Genitivus subiectivus//)

>> 의미상으로 속격이 주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 '''avium '''cantus//: 새들의 노래 (새들이 노래함)

> 4) 객체의 속격(//Genitivus obiectivus//)

>> 의미상으로 속격이 목적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amor '''patris''' //: 아버지에 대한 사랑 (아버지를 사랑함)

> 5) 제한의 속격(//Genitivus limitationis//)

>> 꾸며주는 명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 //aeger '''timoris''' //: 두려움의 병 (병 중에서 두려움에 대한 병만을 가리키도록 제한함)



=== 동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기억의 속격
기억과 관련된 동사들은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memoriae//)

> [[lk:memini]], [[lk:admoneo]], [[lk:reminiscor]], [[lk:obliviscor]]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2. 가치의 속격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pretii//)

+ 객관적인 가치(가격 등)의 경우는 탈격을 사용합니다.

> [[lk:sum]], [[lk:sto]], [[lk:aestimo]], [[lk:puto]], [[lk:habeo]], [[lk:emo]], [[lk:vendo]], [[lk:faci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3. 범죄의 속격
범죄에 관한 혐의를 나타낼때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criminis//)

> [[lk:accuso]], [[lk:dmno]], [[lk:condemno]], [[lk:libero]], [[lk:absolv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4. 영향의 속격
일부 비인칭 동사의 경우 영향을 주는 주체를 속격으로 취합니다. (//Genitivus ad verba affectuum//)

> //me '''tui''' pudet.// : 나는 너 때문에 부끄럽다. (너는 나를 부끄럽게 한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1:45:37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1. 주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lk:sum]] 동사와 [[lk: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명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소유의 속격
소유의 속격(Genitivus possessivus)은 꾸며주는 명사의 소유주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뜻합니다. 이 경우 sum동사의 보어로 쓰이기도 하고, 꾸며주는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의 것'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naves '''Marii''' // : 마리우스의 배

> //naves sunt '''Marii'''.// : 그 배는 마리우스의 것이다.

2. 특성의 속격
sum 동사와 함께 쓰여서 해당 대상이 가지는 필연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를 특성의 속격(Genitivus characteristicus)이라고 합니다.

> // '''Cuiusvis homonis''' est errare.// (키케로)
아무 사람에게나 실수하는 것은 있다. =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수한다.

3. 부분의 속격
부분의 속격(Genitivus partitivus)은 전체 중 일부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말합니다. 이 경우 대게 '~중'으로 해석됩니다.

1) [[lk:pars]](부분), [[lk:dimidium]](절반), [[lk:multitudo]](다수)의 명사와 함께 쓰임

> //pars '''hominum''' //: 사람들 중 일부

2) 비교급이나 최상급과 함께 쓰임

3) 수사와 함께 쓰임

4) [[lk:nemo]](누구도 ~않다)와 함께 쓰임


4. 질의 속격
소유 관계는 아니지만, 꾸며주는 명사의 특질을 보충하는 속격의 용법을 질의 속격(Gentivus qualitatis)라고 합니다. 이 경우 꾸밈을 받는 명사와 속격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수량의 속격(Genitivus quantitatis)

특정 단위와 함께 쓰여서 그 양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argenti pondo viginti milia: 20000개 은의 파운드(= 은 20000파운드)

설명의 속격(Genitivus explicativus)

꾸며주는 명사를 부연설명하는 속격으로, '~라는'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urbs Romae : 로마라는 도시

주체의 속격(Genitivus subiectivus)

의미상으로 속격이 주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vium cantus: 새들의 노래 (새들이 노래함)

객체의 속격(Genitivus obiectivus)

의미상으로 속격이 목적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mor patris: 아버지에 대한 사랑 (아버지를 사랑함)

제한의 속격(Genitivus limitationis)

꾸며주는 명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eger timoris: 두려움의 병 (병 중에서 두려움에 대한 병만을 가리키도록 제한함)



=== 동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기억의 속격
기억과 관련된 동사들은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memoriae//)

memini, admoneo, reminiscor, obliviscor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2. 가치의 속격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pretii//) 객관적인 가치(가격 등)의 경우는 탈격을 사용합니다.

sum, sto, aestimo, puto, habeo, emo, vendo, faci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3. 범죄의 속격
범죄에 관한 혐의를 나타낼때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criminis//)

accuso, dmno, condemno, libero, absolv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4. 영향의 속격
일부 비인칭 동사의 경우 영향을 주는 주체를 속격으로 취합니다. (//Genitivus ad verba affectuum//)

me tui pudet. : 나는 너 때문에 부끄럽다. (너는 나를 부끄럽게 한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1:37:56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1. 주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lk:sum]] 동사와 [[lk: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명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소유의 속격
소유의 속격(Genitivus possessivus)은 꾸며주는 명사의 소유주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뜻합니다. 이 경우 sum동사의 보어로 쓰이기도 하고, 꾸며주는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의 것'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naves '''Marii''' // : 마리우스의 배

> //naves sunt '''Marii'''.// : 그 배는 마리우스의 것이다.

2. 특성의 속격
sum 동사와 함께 쓰여서 해당 대상이 가지는 필연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를 특성의 속격(Genitivus characteristicus)이라고 합니다.

> // '''Cuiusvis homonis''' est errare.// (키케로)
아무 사람에게나 실수하는 것은 있다. =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수한다.

3. 부분의 속격
부분의 속격(Genitivus partitivus)은 전체 중 일부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말합니다. 이 경우 대게 '~중'으로 해석됩니다.

1) pars(부분), dimidium(절반), multitudo(다수)의 명사와 함께 쓰임

> //pars '''hominum''' //: 사람들 중 일부

2) 비교급이나 최상급과 함께 쓰임

3) 수사와 함께 쓰임

4) nemo(누구도 ~않다)와 함께 쓰임


4. 질의 속격
소유 관계는 아니지만, 꾸며주는 명사의 특질을 보충하는 속격의 용법을 질의 속격(Gentivus qualitatis)라고 합니다. 이 경우 꾸밈을 받는 명사와 속격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수량의 속격(Genitivus quantitatis)

특정 단위와 함께 쓰여서 그 양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argenti pondo viginti milia: 20000개 은의 파운드(= 은 20000파운드)

설명의 속격(Genitivus explicativus)

꾸며주는 명사를 부연설명하는 속격으로, '~라는'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urbs Romae : 로마라는 도시

주체의 속격(Genitivus subiectivus)

의미상으로 속격이 주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vium cantus: 새들의 노래 (새들이 노래함)

객체의 속격(Genitivus obiectivus)

의미상으로 속격이 목적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mor patris: 아버지에 대한 사랑 (아버지를 사랑함)

제한의 속격(Genitivus limitationis)

꾸며주는 명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eger timoris: 두려움의 병 (병 중에서 두려움에 대한 병만을 가리키도록 제한함)



=== 동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기억의 속격
기억과 관련된 동사들은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memoriae//)

memini, admoneo, reminiscor, obliviscor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2. 가치의 속격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pretii//) 객관적인 가치(가격 등)의 경우는 탈격을 사용합니다.

sum, sto, aestimo, puto, habeo, emo, vendo, faci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3. 범죄의 속격
범죄에 관한 혐의를 나타낼때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criminis//)

accuso, dmno, condemno, libero, absolv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4. 영향의 속격
일부 비인칭 동사의 경우 영향을 주는 주체를 속격으로 취합니다. (//Genitivus ad verba affectuum//)

me tui pudet. : 나는 너 때문에 부끄럽다. (너는 나를 부끄럽게 한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1:23:41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1. 주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lk:sum]] 동사와 [[lk: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명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소유의 속격
소유의 속격(Genitivus possessivus)은 꾸며주는 명사의 소유주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뜻합니다. 이 경우 sum동사의 보어로 쓰이기도 하고, 꾸며주는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의 것'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naves '''Marii''' // : 마리우스의 배

> //naves sunt '''Marii'''.// : 그 배는 마리우스의 것이다.

2. 특성의 속격
sum 동사와 함께 쓰여서 해당 대상이 가지는 필연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를 특성의 속격(Genitivus characteristicus)이라고 합니다.

> // '''Cuiusvis homonis''' est errare.// (키케로)
아무 사람에게나 실수하는 것은 있다. =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수한다.

3. 부분의 속격
부분의 속격(Genitivus partitivus)은 전체 중 일부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말합니다. 이 경우 대게 '~중'으로 해석됩니다.

1) pars(부분), dimidium(절반), multitudo(다수)의 명사와 함께 쓰임

//pars '''hominum''' //: 사람들 중 일부

2) 비교급이나 최상급과 함께 쓰임

3) 수사와 함께 쓰임

4) nemo(누구도 ~않다)와 함께 쓰임


4. 질의 속격
소유 관계는 아니지만, 꾸며주는 명사의 특질을 보충하는 속격의 용법을 질의 속격(Gentivus qualitatis)라고 합니다. 이 경우 꾸밈을 받는 명사와 속격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수량의 속격(Genitivus quantitatis)

특정 단위와 함께 쓰여서 그 양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argenti pondo viginti milia: 20000개 은의 파운드(= 은 20000파운드)

설명의 속격(Genitivus explicativus)

꾸며주는 명사를 부연설명하는 속격으로, '~라는'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urbs Romae : 로마라는 도시

주체의 속격(Genitivus subiectivus)

의미상으로 속격이 주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vium cantus: 새들의 노래 (새들이 노래함)

객체의 속격(Genitivus obiectivus)

의미상으로 속격이 목적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mor patris: 아버지에 대한 사랑 (아버지를 사랑함)

제한의 속격(Genitivus limitationis)

꾸며주는 명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eger timoris: 두려움의 병 (병 중에서 두려움에 대한 병만을 가리키도록 제한함)



=== 동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기억의 속격
기억과 관련된 동사들은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memoriae//)

memini, admoneo, reminiscor, obliviscor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2. 가치의 속격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pretii//) 객관적인 가치(가격 등)의 경우는 탈격을 사용합니다.

sum, sto, aestimo, puto, habeo, emo, vendo, faci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3. 범죄의 속격
범죄에 관한 혐의를 나타낼때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criminis//)

accuso, dmno, condemno, libero, absolv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4. 영향의 속격
일부 비인칭 동사의 경우 영향을 주는 주체를 속격으로 취합니다. (//Genitivus ad verba affectuum//)

me tui pudet. : 나는 너 때문에 부끄럽다. (너는 나를 부끄럽게 한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1:17:22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1. 주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lk:sum]] 동사와 [[lk: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명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소유의 속격
소유의 속격(Genitivus possessivus)은 꾸며주는 명사의 소유주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뜻합니다. 이 경우 sum동사의 보어로 쓰이기도 하고, 꾸며주는 명사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는 '~의 것'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naves '''Marii''' // : 마리우스의 배

> //naves sunt '''Marii'''.// : 그 배는 마리우스의 것이다.

2. 특성의 속격
sum 동사와 함께 쓰여서 해당 대상이 가지는 필연적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경우를 특성의 속격(Genitivus characteristicus)이라고 합니다.

// '''Cuiusvis homonis''' est errare.// (키케로)
아무 사람에게나 실수하는 것은 있다. =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수한다.

3. 부분의 속격
부분의 속격(Genitivus partitivus)은 전체 중 일부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속격을 말합니다. 이 경우 대게 '~중'으로 해석됩니다.

1) pars(부분), dimidium(절반), multitudo(다수)의 명사와 함께 쓰임

//pars '''hominum''' //: 사람들 중 일부

2) 비교급이나 최상급과 함께 쓰임

3) 수사와 함께 쓰임

4) nemo(누구도 ~않다)와 함께 쓰임


4. 질의 속격
소유 관계는 아니지만, 꾸며주는 명사의 특질을 보충하는 속격의 용법을 질의 속격(Gentivus qualitatis)라고 합니다. 이 경우 꾸밈을 받는 명사와 속격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수량의 속격(Genitivus quantitatis)

특정 단위와 함께 쓰여서 그 양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argenti pondo viginti milia: 20000개 은의 파운드(= 은 20000파운드)

설명의 속격(Genitivus explicativus)

꾸며주는 명사를 부연설명하는 속격으로, '~라는'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urbs Romae : 로마라는 도시

주체의 속격(Genitivus subiectivus)

의미상으로 속격이 주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vium cantus: 새들의 노래 (새들이 노래함)

객체의 속격(Genitivus obiectivus)

의미상으로 속격이 목적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mor patris: 아버지에 대한 사랑 (아버지를 사랑함)

제한의 속격(Genitivus limitationis)

꾸며주는 명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aeger timoris: 두려움의 병 (병 중에서 두려움에 대한 병만을 가리키도록 제한함)



=== 동사와 함께 쓰이는 용법 ===

1. 기억의 속격
기억과 관련된 동사들은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memoriae//)

memini, admoneo, reminiscor, obliviscor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2. 가치의 속격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pretii//) 객관적인 가치(가격 등)의 경우는 탈격을 사용합니다.

sum, sto, aestimo, puto, habeo, emo, vendo, faci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3. 범죄의 속격
범죄에 관한 혐의를 나타낼때 속격을 취합니다. (//Genitivus criminis//)

accuso, dmno, condemno, libero, absolvo 등의 동사가 여기에 속합니다.

4. 영향의 속격
일부 비인칭 동사의 경우 영향을 주는 주체를 속격으로 취합니다. (//Genitivus ad verba affectuum//)

me tui pudet. : 나는 너 때문에 부끄럽다. (너는 나를 부끄럽게 한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1:14:51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 주어
# 보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lk:sum]] 동사와 [[lk: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1:03:00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 주어
# 보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sum 동사와 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0:54:19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