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19.06.29 11:16
Tota fere sapientiae nostrae summa, quae vera demum ac solida sapientia censeri debeat, duabus partibus constat, Dei cognitione et nostri.
여기서, vera demum ac solida sapientia censeri debeat 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이중주격으로 볼 경우의 해석: 앞의 summa를 주어로 보고, censeri를 수동형 타동사의 평가 동사로 보고, 뒤의 sapientia를 서술 보어의 주격으로 보아서: 궁극적으로 참되고 견고한 지혜로 간주되어야 하는 (우리의 지혜의 총체는 통상적으로...)
2. sapientia를 탈격으로 볼 경우: 궁극적으로 참되고 견고한 지혜에 의해 판단되어야 하는 (우리의 지혜의 총체는 통상적으로...)
1번이 타당해 보이는데, 2번이 불가하겠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혹 quae관계대명사가 1,2번 해석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모르겠군요.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72 | 어떻게 표현해야 해나요 [1] (2022.05.23) | 라틴어 | 2022.05.23 | 377 |
1571 | 짧은 단어 질문드립니다. [1] (2022.05.22) | 지영 | 2022.05.22 | 223 |
1570 | 라틴어의 중의성에 대하여 질문 있습니다. [1] (2022.05.20) | Asseius | 2022.05.20 | 211 |
1569 | 라틴어로 바꿔주실수있나요? ㅠㅠ [1] (2022.05.17) | 새벽 | 2022.05.17 | 442 |
1568 | 한국어 라틴어로 번역좀 부탁드립니다 [1] (2022.05.13) | 러 | 2022.05.13 | 492 |
1567 | 라틴어 명사의 복수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 (2022.05.07) | Asseius | 2022.05.07 | 204 |
1566 | 라틴어 번역 부탁드립니다.ㅠㅠ [2] (2022.05.04) | 내뤼 | 2022.05.04 | 282 |
1565 | "북쪽의" 라는 뜻에 이 단어들을 사용할 수 있나요 [1] (2022.04.24) | Ex favila | 2022.04.24 | 208 |
1564 | 이 문장 맞나요? [1] (2022.04.20) | 이건희 | 2022.04.20 | 334 |
1563 | 맞는 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5] (2022.04.07) | 안녕하세요 | 2022.04.07 | 333 |
1562 | 직접 만든 기도문의 표현이 맞는지 봐주세요~ [2] (2022.04.04) | Egō Amō Linguam! | 2022.04.04 | 329 |
1561 |
Ut 의 용법에 대하여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1] ![]() | QUIS UT DEUS | 2022.04.03 | 250 |
1560 | 라틴어 질문입니다 [1] (2022.03.30) | 오라시온 | 2022.03.30 | 269 |
1559 | 시선을 라틴어로 [3] (2022.03.26) | A | 2022.03.26 | 443 |
1558 | 친구랑 우정반지를 맞추려고 합니다 [3] (2022.03.17) | 우정링 | 2022.03.17 | 473 |
1557 | 왜 소유격으로 쓰인건가요? [2] (2022.03.13) | ㅇㅇ | 2022.03.13 | 320 |
1556 | 문장 번역에 질문 드립니다 [1] (2022.03.09) | Flavus | 2022.03.09 | 363 |
1555 | 위치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2] (2022.03.08) | 안녕하세요 | 2022.03.08 | 213 |
1554 | 동사의 분사형에 대해서 [1] (2022.03.08) | ㅇㅇ | 2022.03.08 | 211 |
1553 | 번역부탁드려요! [4] (2022.03.07) | buu | 2022.03.07 | 501 |
맥락상 1번이 더 옳아보입니다.
2번처럼 sapientia 구를 탈격으로 보게되면 censeri 동사가 취하는 명사가 없게 되어 어색한 문장이 되고, 해석 역시 이상해집니다.
만약 해당 관계절 안에 또 다른 주격명사가 있다면 sapientia를 탈격구로 보고, "지혜에 의해 ~라고 판단되어야하는" 처럼 해석할 수 있겠으나, 이 역시 아니구요.
따라서 1번처럼 해석하는게 주어진 맥락에서 가장 올바른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