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19.06.29 11:16
Tota fere sapientiae nostrae summa, quae vera demum ac solida sapientia censeri debeat, duabus partibus constat, Dei cognitione et nostri.
여기서, vera demum ac solida sapientia censeri debeat 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이중주격으로 볼 경우의 해석: 앞의 summa를 주어로 보고, censeri를 수동형 타동사의 평가 동사로 보고, 뒤의 sapientia를 서술 보어의 주격으로 보아서: 궁극적으로 참되고 견고한 지혜로 간주되어야 하는 (우리의 지혜의 총체는 통상적으로...)
2. sapientia를 탈격으로 볼 경우: 궁극적으로 참되고 견고한 지혜에 의해 판단되어야 하는 (우리의 지혜의 총체는 통상적으로...)
1번이 타당해 보이는데, 2번이 불가하겠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혹 quae관계대명사가 1,2번 해석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모르겠군요.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50 | 이게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을까요? [1] (2017.12.08) | gin | 2017.12.08 | 195 |
1549 | 라틴어 번역 해주세요 [1] (2019.02.28) | 자라 | 2019.02.28 | 195 |
1548 | 시간의 표현에서 서수와 기수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1] (2020.03.05) | ㅇㅇ | 2020.03.05 | 195 |
1547 | 현재 부정사와 동사 과거형이 같이 쓰이기도 하나요? [1] (2022.07.31) | Flavus | 2022.07.31 | 195 |
1546 | 라틴어 작문 부탁드립니다. [2] (2022.09.07) | 안녕하세요 | 2022.09.07 | 195 |
1545 | 질문 있습니다 [1] (2018.09.28) | ㅇㅇ | 2018.09.28 | 196 |
1544 | 신을 모독하는 영혼을 뭐라고 하나요? [1] (2018.03.30) | IT | 2018.03.30 | 197 |
1543 | 해석부탁드립니다^_^ [1] (2018.06.25) | nemoo | 2018.06.25 | 197 |
1542 | 발음 관련해서 여쭤볼 것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4] (2019.02.13) | Titan | 2019.02.13 | 197 |
» | 이중 주격 구문/탈격구문 [1] (2019.06.29) | pusthwan | 2019.06.29 | 197 |
1540 | 안녕하세요 [1] (2021.10.24) | ㅇㅇ | 2021.10.24 | 197 |
1539 | 질문입니다. [3] (2021.10.30) | 2456 | 2021.10.30 | 197 |
1538 | '~만나다' 라는 뜻의 정확한 단어이 있나요? [1] (2022.02.10) | 철학자 philosophos | 2022.02.10 | 197 |
1537 | 라틴어번역질문입니다 [1] (2017.09.20) | 라틴어 | 2017.09.20 | 198 |
1536 | 이거 무슨뜻인가요? [1] (2019.04.03) | 맥 | 2019.04.03 | 198 |
1535 | ㅇ [2] (2017.05.06) | 김예진 | 2017.05.06 | 199 |
1534 | 번역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1] (2018.03.20) | 라틴초급 | 2018.03.20 | 199 |
1533 | 라틴어 문구 관련 질문드립니다. [2] (2022.07.10) | ㅇㅇ | 2022.07.10 | 199 |
1532 | quum 의 용법 [1] (2016.08.16) | pusthwan | 2016.08.16 | 200 |
1531 | 번역 부탁드리겠습니다. [1] (2017.07.18) | 팔리다모르테푸슬라 | 2017.07.18 | 200 |
맥락상 1번이 더 옳아보입니다.
2번처럼 sapientia 구를 탈격으로 보게되면 censeri 동사가 취하는 명사가 없게 되어 어색한 문장이 되고, 해석 역시 이상해집니다.
만약 해당 관계절 안에 또 다른 주격명사가 있다면 sapientia를 탈격구로 보고, "지혜에 의해 ~라고 판단되어야하는" 처럼 해석할 수 있겠으나, 이 역시 아니구요.
따라서 1번처럼 해석하는게 주어진 맥락에서 가장 올바른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