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20.03.05 20:23
Hoc verbum Caesaris etiam iniuria Pompeii qui fuit inimicus eius fuit
또한 카이사르의 이 말은 그의 적이였던 폼페이우스에 대한 모욕이었다.
맞게 작문한건가요? 저기 관계대명사절에서 미완료과거를 써야할 지 완료현재를 써야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10 | 문법관련 질문 [2] (2024.01.11) | ㅇㅇ | 2024.01.11 | 208 |
1509 | 번역 질문있습니다. [1] (2017.09.17) | asd123 | 2017.09.17 | 209 |
1508 | 이 말을 라틴어로 번역 부탁드립니다! [1] (2019.01.28) | 꿣뛇 | 2019.01.28 | 209 |
1507 | 번역 부탁드려요ㅠㅠㅠㅠ [1] (2017.08.28) | 여율 | 2017.08.28 | 210 |
1506 | 단어 질문드립니다. [2] (2021.08.17) | 하랑 | 2021.08.17 | 210 |
1505 | 번역부탁드립니다. [1] (2017.09.05) | Esther | 2017.09.05 | 211 |
1504 | 라틴어로 번역 부탁드립니다!! [1] (2019.03.29) | 맥 | 2019.03.29 | 211 |
1503 | 번역 좀 부탁드립니다 [1] (2017.10.18) | 가나 | 2017.10.18 | 212 |
1502 | 작문 부탁드립니다. [1] (2017.03.31) | 캐시 | 2017.03.31 | 212 |
1501 | 문의 드립니다. [1] (2018.09.13) | vir | 2018.09.13 | 212 |
1500 | 번역 부탁드립니다 [1] (2018.06.08) | sdrg | 2018.06.08 | 213 |
1499 | 라틴어 하나만 여쭤볼수있을까요..? [2] (2020.02.15) | 초보 | 2020.02.15 | 213 |
1498 | Aiunt enim multum legendum esse, non multa. [2] (2021.11.13) | 평리동 | 2021.11.13 | 213 |
1497 | 이름 + 영원한 [2] (2022.02.12) | 000 | 2022.02.12 | 213 |
1496 | 문장번역..궁금합니다 [1] (2016.09.02) | 뉴비 | 2016.09.02 | 214 |
1495 | 라틴어 문장 구상 [1] (2021.01.17) | 질문자 | 2021.01.17 | 214 |
1494 | 겨울을 배경으로 한 문장 번역 부탁드립니다~ [2] (2021.11.01) | Egō Amō Linguam! | 2021.11.01 | 214 |
1493 | 번역하나만부탁드려요! [1] (2018.01.25) | 옹옹옹 | 2018.01.25 | 215 |
1492 | tenebra와 tenebrae의 둘 중에 어떤 게 맞나요? [4] (2018.07.25) | 글쓴이 | 2018.07.25 | 215 |
1491 | 라틴어 번역 부탁드릴게요.. [1] (2017.08.25) | 라틴1 | 2017.08.25 | 216 |
perfect와 imperfect를 구분하는건 늘 헷갈리는 일입니다. 이 둘은 문장이 가리키는 시점 안에서 행위가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구분이 됩니다.
즉 완료형인 fuit을 쓰면 문장이 가리키는 시점에 폼페이우스가 카이사르의 적이었고, 그것이 완료되었다는 뉘앙스를 풍기게 됩니다. (즉, 그 이후로는 적이 아니게 되었을 수도 있음) 혹은 그냥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언급하는데에 쓰이기도 합니다.
반면 미완료형인 erat을 쓰면 폼페이우스가 카이사르의 적이었던게 문장이 가리키는 시점부터인지 그 이전부터인지는 모르겠고, 또한 그 행위가 시점 내에서 끝나지 않음을 내포합니다. (즉, 그 이후로도 계속 적이었다가 어느 시점에 끝났을 수도 있고, 혹은 더 나아가 현재에도 적일수도 있음) 혹은 과거에 진행되던 행위를 언급하는데에도 쓰이지요.
정답을 말씀드리자면, 목적에 따라 둘 다 맞을 수 있습니다. 다만 그 뜻이 미묘하게 달라지겠지요. 제 개인적인 생각은 관계절 내의 sum은 erat으로 쓰는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의 관계가 이후로도 계속 적대적으로 이어진다는 걸 암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