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22.10.18 09:35
Morte tyranni ferocis nuntiata, quisque se ad oratorem potentissimum magna spe vertit.
With the fierce tyrant's death announced, each turned with great hope to the most capable orator.
여기서, nuntiata가 된 것은 mors가 여성이기 때문에, nuntiatus의 여성형이 된 것이지요?
당연한 것 같은데 혹시나 해서 여쭙니다.
단어가 탈격으로 변화하고 분사도 함께 변하고 그러니 정신이 없습니다.
다 초보라 그렇겠지요.
그래도 선생님의 친절한 가르침으로 아리송한 부분에서 늘 확신을 갖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656 | 새로운 탄생 혹은 새롭게 태어나리라 라는 문장 [1] (2023.03.12) | 아무 | 2023.03.12 | 17 |
1655 | 해석 질문: 동사 없는 문장 혹은 탈격? [2] (2023.02.24) | 고병량 | 2023.02.24 | 18 |
1654 | cursor의 의미 [2] (2023.02.24) | 고병량 | 2023.02.24 | 15 |
1653 | manus [2] (2023.02.24) | 고병량 | 2023.02.24 | 21 |
1652 | 잠언 24장 33절에 나오는 modicum의 예 [2] (2023.02.22) | 고병량 | 2023.02.22 | 34 |
1651 | 라틴어 문법 질문 [1] (2023.02.19) | Vos | 2023.02.19 | 24 |
1650 | 시제에 대하여 [2] (2023.02.17) | ㅇㅇ | 2023.02.17 | 18 |
1649 | [성경]-구약성경 학개서 1장 없는데 보충 요청 [1] (2023.02.12) | amicus | 2023.02.12 | 8 |
1648 | 번역 부탁드립니다 [1] (2023.02.12) | festi03 | 2023.02.12 | 23 |
1647 | 라틴어는 아니고 헬라어 질문입니다, [2] (2023.02.08) | ㅇㅇ | 2023.02.08 | 22 |
1646 |
혹시 이거 라틴어 같은데 뜻이 먼가요?
[1] ![]() | 봉봉 | 2023.02.06 | 26 |
1645 | 빨리 알려주실수 있나요ㅅ [1] (2023.02.06) | 마이 | 2023.02.06 | 21 |
1644 | “자기 확신” 라틴어로 번역해주세요 [1] (2023.01.22) | Latin0865 | 2023.01.22 | 33 |
1643 | 안녕하세요 라틴어로 이뜻이 맞나요? [1] (2023.01.20) | 문근영 | 2023.01.20 | 54 |
1642 | “후회없는 선택“ 을 라틴어로 번역하면 어떻게 되나요? [4] (2023.01.13) | 라린이 | 2023.01.13 | 58 |
1641 | 라틴어 공부에 대한 질문입니다. [2] (2023.01.12) | !@#$ | 2023.01.12 | 30 |
1640 | Now or never을 라틴어로 바꾸면 뭔가용???? [1] (2023.01.09) | japanescortspage | 2023.01.09 | 31 |
1639 | [성경말씀 분석] 데살로니가 전서, 후서 제1장 제1절(의견) [1] (2023.01.07) | amicus | 2023.01.07 | 18 |
1638 | 짧은 번역 부탁드립니다 [1] (2023.01.07) | jja | 2023.01.07 | 35 |
1637 | 짧은 문구 변역부탁드려요 [1] (2023.01.06) | 헬린이 | 2023.01.06 | 28 |
네 맞습니다. 특히 Morte tyranni ferocis nuntiata 이 부분은 고전 라틴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절대 탈격(Ablative Absolute, 자립 분사구)로써 그 구조에 익숙해지시는게 좋습니다. 절대 탈격구는 "탈격 명사 + 탈격 분사(혹은 형용사)"가 함께 쓰여서 해당 명사구를 부사적(=시간, 장소, 원인 등)으로 해석하게 만듭니다.
여기서는 morte nuntiata라는 절대 탈격 구조에 명사 morte를 수식하기 위해 tyranni ferocis가 삽입된 것입니다.
morte nuntiata: 죽음이 알려지자, 죽음이 알려져서
morte tyranni ferocis nuntiata: 포악한 지배자의 죽음이 알려지자
quisque se ad oratorem potentissimum magna spe vertit. 각자 가장 유능한 연설가에게 큰 희망을 품고 돌아섰다.
뒷 부분의 맥락을 볼때, 앞부분의 절대 탈격구의 경우 시간과 더불어 원인까지도 함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한국어로 해석할 때 이런 점을 잘 살리면 더욱 좋은 해석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