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16.11.03 17:05
1. Cujus conversatio est in coelis, cujus eo ipso et thesaurus et animus est ibidem.
2. Cujus conversatio in coelis est; ille se in terris pro peregrino habet.
해석을 해보면,
1. 누구의 삶의 방식이 천상을 따르는가? 바로 그 삶의 방식에 의해(eo ipso) 누구의 보물과 영혼이 바로 그곳에(ibidem, 천상에) 있는가?
2. 천상을 따르는 삶의 방식은 누구의 것인가? 그 사람은 자신을(se) 땅에서 순례자처럼 간주한다.
(질문 두가지)
1의 해석이 맞는지요?
1과 2 전반부 단어 배열이 다른데, 해석이 맞다고 볼 수 있는지요?
도움에 감사드립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102 | * 이 문장의 문법이 맞는건가요ㅠㅠ [4] (2016.02.12) | 으아아어아 | 2016.02.12 | 115 |
1101 | 라틴어 합성어 질문드립니다 ! [4] (2021.09.23) | 장운호 | 2021.09.23 | 114 |
1100 | 라틴어 문장 질문입니다 2 [2] (2019.10.13) | 안녕하세요 4 | 2019.10.13 | 114 |
1099 | 번역 부탁드려요!! [3] (2017.08.14) | psnl | 2017.08.14 | 114 |
1098 | 라틴어 번역 부탁드립니당:) [1] (2017.05.03) | 햄 | 2017.05.03 | 114 |
1097 | 영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부탁드립니다! [1] (2017.02.19) | Se_118 | 2017.02.19 | 114 |
1096 | 한 문장 책의 서두에 쓰고자 하는데, 라틴어로 변환 해주실수 있으십니까? [2] (2018.12.23) | 삼청 | 2018.12.23 | 113 |
1095 | 라틴어 변역 부탁드립니다. [4] (2018.04.06) | Gabriel | 2018.04.06 | 113 |
1094 | 라틴어로 부탁드려요 [2] (2017.04.21) | ㅇㅈㅇㅈ | 2017.04.21 | 113 |
» | 문장 배열건 [1] (2016.11.03) | pusthwan | 2016.11.03 | 113 |
1092 | 대 카토 명언 중에 [1] (2018.11.04) | 글쓴이 | 2018.11.04 | 112 |
1091 | 번역 부탁드립니다! [2] (2017.07.31) | 챔땽 | 2017.07.31 | 112 |
1090 | 영문문장 라틴어로 부탁드려요 [1] (2017.05.12) | 김박사 | 2017.05.12 | 112 |
1089 | 아니 휠록 미치겠네요 [4] (2019.08.21) | 영그니dogboy | 2019.08.21 | 111 |
1088 | 선물하며 쓸 문구의 작문 부탁드립니다! [1] (2019.09.20) | 감사합니다. | 2019.09.20 | 111 |
1087 | 하느님의 이름 번역 [1] (2019.05.29) | 때뿌뉘 | 2019.05.29 | 111 |
1086 | 번역 부탁드립니다!! [2] (2017.11.28) | 딩동댕 | 2017.11.28 | 111 |
1085 | hic Deus 번역건 [1] (2015.12.09) | pusthwan | 2015.12.09 | 111 |
1084 | 라틴어로 곡을 써보려고 합니다. [2] (2020.07.23) | ㅇㅎ | 2020.07.23 | 110 |
1083 | 라틴어로 번역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2] (2019.01.04) | Forld | 2019.01.04 | 110 |
일반적으로 라틴어 문장의 어순은 자유롭다고 여겨지지만, 위치에 따라 강조되는 단어가 다르기 때문에 어순 상관없이 아예 의미가 같다곤 볼수 없습니다. 보통 가장 앞의 단어가 가장 강조되고, 두번째로 가장 마지막의 단어가 강조됩니다.
따라서 Cujus conversatio est in coelis와 Cujus conversatio in coelis est는 둘다 '누구의 삶의 방식이 천상을 따르는가'는 의미를 가지지만 강조대상에 차이가 있지요.
다만 문제는 그 강조되는 단어의 차이를 한국어로 명확하게 드러내기가 어렵습니다. 그런 점에서 볼때 1,2번 모두 유효한 해석이라고 할 수 있고, 전체 문맥에서 어색하지 않다면 그대로 쓰셔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