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21.09.03 02:43
저런 설명은 당최 처음 들어보는데 아니지 않나요?
종종 animate와 inanimate를 기준으로 명사를 구분하는 체계를 지닌 언어들이 있긴 있는데, 라틴어에서 그렇다는 설명은 들어보지 못했거든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34 | 라틴어 문구로 번역 부탁드립니다 [1] (2017.07.10) | 대구여자 | 2017.07.10 | 1007 |
1533 | 답변 감사합니다 [1] (2018.11.14) | 슈 | 2018.11.14 | 995 |
1532 | 라틴어 글귀 번역 부탁드립니다. [2] (2017.01.15) | 안지원 | 2017.01.15 | 983 |
1531 | 사랑하는 나의 가족 번역 [1] (2016.02.20) | 김서우 | 2016.02.20 | 963 |
1530 | 수고많으십니다. 라틴어 번역 관련 질문드립니다. [1] (2014.11.17) | Tune | 2014.11.17 | 957 |
1529 | addiction의 어원 [1] (2017.06.18) | Nairegor | 2017.06.18 | 903 |
1528 | semper liber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2017.01.11) | freewill | 2017.01.11 | 902 |
1527 | 라틴어 번역 부탁드려요. [1] (2018.03.05) | 엘렌 | 2018.03.05 | 901 |
1526 | 라틴어로번역좀해주세요!! [3] (2016.12.28) | 라틴어 | 2016.12.28 | 896 |
1525 | 한국말을 라틴어로 바꾸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 [3] (2014.09.17) | leocritia | 2014.09.17 | 869 |
1524 | 라틴어로 후회 또는 후회하다 [1] (2016.11.29) | 레터 | 2016.11.29 | 864 |
1523 | 거룩하신 (남자 이름) (여자 이름)가 라틴어로 뭔 지 알고 싶습니다. [1] (2018.06.21) | tato | 2018.06.21 | 862 |
1522 | 라틴어 번역 해봤는데 도와주세요 (2014.08.19) | 라틴어 | 2014.08.19 | 839 |
1521 | 꽃처럼 피어나길 번역해주세오ㅠㅜㅜ [1] (2018.05.02) | 꼴뀰뀰뀰 | 2018.05.02 | 832 |
1520 | 경제학에서 자주 나오는 ceteris paribus 발음 질문입니다. [2] (2014.12.09) | 경제학도 | 2014.12.09 | 829 |
1519 | 라틴어 짧은 문구를 작문해보려 하는데 어렵네요 [2] (2017.03.30) | 김이한 | 2017.03.30 | 823 |
1518 | 한글을 라틴어로 번역좀 부탁드립니다 [1] (2018.02.27) | 그대 | 2018.02.27 | 820 |
1517 | 라틴어 발음이 듣고 싶습니다. [1] (2016.03.02) | chromeheart | 2016.03.02 | 809 |
1516 | 이걸 라틴어로 번역한게 맞나요? (2014.08.21) | 바올 | 2014.08.21 | 767 |
1515 | 안녕하세요 라틴어로 번역부탁드립니다. [2] (2017.03.14) | blackrj | 2017.03.14 | 761 |
아예 틀린 설명은 아닌걸로 보입니다.
라틴어의 먼 조상인 인도유럽조어에서는 초기에 animate와 inanimate로 명사를 구분하는 2분류 체계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영어 위키에도 비슷한 설명이 있으니 참조하셔도 좋을듯 합니다.) 나중에 animate가 남성과 여성으로 분리되어 후기에는 남-여-중성 체계가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구요.
라틴어에도 이런 흔적들이 발견되곤 하는데요, 일례로 남성이나 여성 양쪽으로 쓰이는 공성 명사의 존재(대표적으로 canis)나, 형용사 중 일부는 남/여성의 형태는 공유하고 중성만 구분되는 2분류 체계(대표적으로 omnis)라는 점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런 것으로 볼때 아마 고대 혹은 원시 라틴어에서도 animate - inanimate만 구분하는 2분류 체계를 사용하다 animate가 남/여성으로 분리되었다고 추정됩니다. 3분류 체계로 변한 뒤 중성의 역할은 inanimate에서 약간 변화하긴 했는데요, 여전히 inanimate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형용사나 대명사를 사용할 경우 남/여성은 주로 사람이나 살아있는 대상을 지칭하는 반면, 중성은 추상적인 대상이나 사물을 지칭하는데 쓰인다는 점, 동물을 가리키는데에 중성이 쓰이는 사례가 거의 없다는 점(동물을 가리키는 명사 중 중성명사는 대부분 외래어임)(참고 링크) 등이 대표적인 사례가 되겠네요.
결론은, 라틴어는 animacy를 기준으로하는 2분류 체계는 아니지만 중성이 animacy 2분류 체계에서의 inanimate의 역할을 거의 물려받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