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22.05.07 19:59
물이나 피는 셀 수 없지만 라틴어에는 aquae나 sanguines같은 한국어나 영어에선 셀 수 없는 명사들의 복수형이 버젓이 존재합니다. 이런 단어들은 어떤 기준으로 수를 구분해서 쓰는 거죠?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99 | 요한복음 15장 5절 분석 의견 [1] (2022.08.06) | amicus | 2022.08.06 | 19 |
1598 | 이사야 54:10절의 miserator(가엽게 여겨주시는 분)(의견) [1] (2022.08.05) | amicus | 2022.08.05 | 17 |
1597 | Quisquis in alterius fortunis incubas. [2] (2022.08.03) | 평리동 | 2022.08.03 | 23 |
1596 | 현재 부정사와 동사 과거형이 같이 쓰이기도 하나요? [1] (2022.07.31) | Flavus | 2022.07.31 | 32 |
1595 | 라틴어 문장 질문 있습니다 [2] (2022.07.29) | Jbhb | 2022.07.29 | 54 |
1594 | non possum non=i must 부연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2] (2022.07.28) | 평리동 | 2022.07.28 | 25 |
1593 | magnis spiris tenent. tenere가 대격을 취하지 않나요? [3] (2022.07.28) | 평리동 | 2022.07.28 | 22 |
1592 | 열왕기 하권 22장 8-11절 라틴어 분석(의견) [1] (2022.07.21) | amicus | 2022.07.21 | 34 |
1591 | 그라쿠스 형제의 동상 아래 쓰여있는 문구가 무슨 뜻인가요? [1] (2022.07.21) | Ppaekkom | 2022.07.21 | 43 |
1590 | 라틴어 문법적으로 맞나요? [4] (2022.07.15) | Dawn | 2022.07.15 | 56 |
1589 | 탈격 용법 질문드립니다 [1] (2022.07.14) | Flavus | 2022.07.14 | 30 |
1588 | “나의 가족이라서 고마워” 한국어로 번역해주세요,, [1] (2022.07.12) | 레털 | 2022.07.12 | 37 |
1587 | 라틴어 문서 작문에서 고칠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2022.07.12) | CAU_Paulus | 2022.07.12 | 32 |
1586 | 라틴어 작문 봐주세요! [2] (2022.07.11) | Dd | 2022.07.11 | 41 |
1585 | 라틴어 문구 질문드립니다! [1] (2022.07.11) | ㅎㅎ | 2022.07.11 | 40 |
1584 | 라틴어 문구 관련 질문드립니다. [2] (2022.07.10) | ㅇㅇ | 2022.07.10 | 32 |
1583 | 안녕하세요 해석 및 수정 부탁드립니다 ㅠ [2] (2022.07.04) | 꼬들꼬들 | 2022.07.04 | 46 |
1582 | 분리의 탈격 질문 [2] (2022.06.27) | 안녕하세요 | 2022.06.27 | 42 |
1581 | 성경 본문 분석보기 등 문의? [4] (2022.06.26) | amicus | 2022.06.26 | 32 |
1580 | 고전 라틴어와 교회 라틴어는 강세 붙이는 방법이 다른가요? [1] (2022.06.23) | 학생 | 2022.06.23 | 37 |
로마인들의 '셀 수 있음(Countable)'에 대한 관념은 현대 영어와는 사뭇 달랐던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흔히들 이야기하는 규칙에 따르면,
는 단수로만 쓰이고 복수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고 합니다.(참고)
문제는 실제로는 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복수로 쓰이는 사례가 많고, 이 경우 의미가 약간 달라진다고 하네요. 예로 nix(눈)은 셀수 없는 대상이지만, 이를 복수인 nives로 쓰면 '눈들'이 되는게 아니라 '눈송이들', '눈보라'와 같이 의미가 확장됩니다.
또한 각각의 덩어리를 하나로 보고, 그 덩어리가 여럿인 경우에 복수형을 쓰기도 합니다. 대표적인게 불가타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물 한가운데에 궁창이 생겨, 물과 물 사이를 갈라놓아라"라는 구절입니다. 물을 둘로 갈라놓았으니 두 덩어리가 되고, 이를 복수형으로 표현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단수형과 복수형이 포함된 예문들을 비교해서 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듯 하네요. (aquam vs aquas)
사실 모든 경우에 대해 뾰족하게 적용되는 해석 방법은 없는듯해서, 그때그때 문맥에 따라 단수가 아니라 굳이 복수를 사용한 이유를 고민해봐야하는데요, 대략적으로 위의 방향에서 시작하여 접근해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