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Et duxit me ad viam
australem
, et ecce porta, quae respiciebat ad austrum; et mensus est postes eius et vestibulum eius iuxta mensuras superiores.
그는 나를 남쪽으로 이끌고 갔는데, 거기에 남쪽 대문이 있었다. 그가 벽기둥들과 현관을 재니 앞의 것들과 치수가 같았다.
(불가타 성경, 에제키엘서, 40장24)
Et introduxit me in atrium interius per portam
australem
et mensus est portam iuxta mensuras superiores;
그가 나를 남쪽 대문으로 해서 안뜰로 데리고 갔다. 그가 남쪽 대문을 재니 앞의 것들과 치수가 같았다.
(불가타 성경, 에제키엘서, 40장28)
Et ostia aedificii adiacentis ad aream vacuam, ostium unum ad viam aquilonis et ostium unum ad viam
australem
; et latitudo muri areae vacuae quinque cubitorum in circuitu.
곁방들의 입구는 빈 터로 나 있는데, 입구 하나는 북쪽으로, 다른 입구 하나는 남쪽으로 나 있었다. 그리고 이 빈 터를 둘러싼 벽의 두께는 다섯 암마였다.
(불가타 성경, 에제키엘서, 41장11)
Et ad ventum
australem
mensus est quingentos calamos in calamo mensurae per circuitum.
그리고 남쪽을 재니 측량 장대로 또 오백 암마였다.
(불가타 성경, 에제키엘서, 42장18)
portae civitatis in nominibus tribuum Israel: portae tres a
septentrione
, porta Ruben una, porta Iudae una, porta Levi una.
도성의 대문들은 이스라엘의 지파 이름을 따서 부른다. 그래서 북쪽에 대문이 셋 있는데, 하나는 르우벤 대문, 하나는 유다 대문, 하나는 레위 대문이다.
(불가타 성경, 에제키엘서, 48장31)
Eorum una pars, quam Gallos obtinere dictum est, initium capit a flumine Rhodano, continetur Garumna flumine, Oceano, finibus Belgarum, attingit etiam ab Sequanis et Helvetiis flumen Rhenum, vergit ad
septentriones
.
그들 중 갈루스 인들이 가졌다고 이야기되는 한 지역은 론 강에서부터 시작하고, 가론 강, 대서양, 벨가이 인들의 경계로 둘러쌓인다. 이것은 또한 세콰니 족과 헬베티아 족으로부터 라인 강으로 도달하고, 북쪽으로도 뻗어 있다.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1권, 1장5)
Belgae ab extremis Galliae finibus oriuntur, pertinent ad inferiorem partem fluminis Rheni, spectant in
septentrionem
et orientem solem.
벨가이 인들은 갈루스 인들의 경계 가장 끝쪽에서 나타나서 라인 강의 아랫쪽 부분에까지 속하고, 북쪽과 동쪽을 바라본다.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1권, 1장6)
Aquitania a Garumna flumine ad Pyrenaeos montes et eam partem Oceani quae est ad Hispaniam pertinet; spectat inter occasum solis et
septentriones
.
아퀴탄 지방은 가론 강에서부터 피레네 산과 스페인에 속한 바다 부분까지 이어지며 서쪽과 북쪽을 바라본다.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1권, 1장7)
Et extra portam interiorem exedrae duae, in atrio interiori; una erat in latere portae respicientis ad aquilonem, et facies eius contra viam
australem
, et una ex latere portae
australis
, quae respiciebat ad viam aquilonis.
이 안쪽 대문 밖 안뜰에는 방이 두 개 있었는데, 하나는 북쪽 대문 곁에 남쪽으로 나 있고, 다른 하나는 동쪽 대문 곁에 북쪽으로 나 있었다.
(불가타 성경, 에제키엘서, 40장44)
Et porta erat atrio interiori in via
australi
, et mensus est a porta usque ad portam in via
australi
centum cubitos.
안뜰 남쪽에도 대문이 하나 있었다. 그가 이 대문과 남쪽 대문 사이를 재니 백 암마였다.
(불가타 성경, 에제키엘서, 40장27)
Plaga autem
australis
meridiana a Thamar usque ad aquas Meribathcades et torrentem usque ad mare Magnum; haec est plaga ad meridiem
australis
.
남쪽으로는, 타마르에서 시작하여 므리밧 카데스 샘까지, 그리고 거기에서 ‘이집트 마른내’를 거쳐 큰 바다까지 이른다. 이것이 남쪽 경계선이다.
(불가타 성경, 에제키엘서, 47장19)
Predicatio autem eius et potestas tenebit a mari usque ad mare, ab oriente usque ad occidentem, ab aquilone usque ad
septentrionem
.
(ADSO DERUENSIS, DE ORTU ET TEMPORE ANTICHRISTI 2:5)
quem ego olim ab
australibus
partibus in aquilonalem hanc solitudinem duxi;
(DE AMICITIA, CAPUT XXVIII. Epilogus. 1:18)
Et a latere quidem
australi
, Tyrrheno alluitur et Gallico mari;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사건 연대기, Liber XV, 10장 2:1)
Et a latere quidem
australi
, geniculato Tigridis meatu subluitur, propius emergentis;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사건 연대기, Liber XVIII, 9장 2:1)
이전
2
/
17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