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
Unaquaeque
natura suam bonitatem et suam perfectionem possidet proprias […].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90:6)
Diversae creaturae, in suo esse proprio volitae, radium reverberant,
unaquaeque
suo modo, infinitae sapientiae et infinitae bonitatis Dei.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90:7)
Hac de causa, homo bonitatem propriam
uniuscuiusque
creaturae revereri debet, ut usus rerum vitetur inordinatus”.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90:8)
Sic Patris affectio in
unamquamque
creaturam recidit, cui in mundo tribuit locum.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99:9)
84. Cum instamus dicentes imaginem Dei esse hominem, hoc non patitur ut obliviscamur
unamquamque
creaturam suas agere partes ac nullam supervacaneam esse.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107:1)
Propriae amicitiae cum Deo historia in quodam geographico loco usque succrescit, qui perquam personale fit signum, atque in
unoquoque
nostrum memoria residet locorum, permultum iuvantium.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107:4)
Cum suis colloquens discipulis, eosdem ad paternam necessitudinem agnoscendam invitabat, quam Deus omnibus cum suis creaturis habet, atque ipsis moventi blandimento memorabat quomodo suos ob oculos
unaquaeque
earum magnum habeat pondus: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129:3)
Locorum imminutio operandi “negativum infert incursum in ordinem oeconomicum, per gradualem erosionem «patrimonii socialis», hoc est illius summae necessitudinum fiduciae, credibilitatis et observantiae legum, quae necessaria habentur ad quamlibet civilem
consortionem
”.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168:9)
Propter mutationum amplitudinem, non iam possumus propriam liberamque invenire responsionem ad
unamquamque
quaestionis partem.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183:6)
Neque notio qualitatis vitae imponi potest, sed est intellegenda intra mundum signorum et consuetudinum propriorum
uniuscuiusque
coetus humani.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189:7)
Sensus suffocationis, quae glomeratis domibus ac locis plurimorum inhabitantium gignitur, vincitur si vincula humana proximitatis et caloris evolvuntur, si communitates creantur, si limites ambitales intra
unamquamque
personam compensantur, quae se ipsam sentit in complexum communionis et proprietatis insertam.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194:5)
Quaedam consilia Declarationis Holmiensis (anno MCMLXXII) commemorans, inter alia statuit internationalem cooperationem ad oecosystema totius terrae colendum, obligationem contaminantium id oeconomice sustinendi, officium impactionem ambitalem in
unoquoque
opere vel proposito ponderandi.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218:3)
185. In
unaquaque
disputatione quae ad ergolabicam operam attinet quaedam interrogationes sunt struendae, ut discernatur utrum verum integrumque progressum feratur: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238:1)
Necessarius ipsas inter scientias etiam est dialogus, cum
unaquaeque
proprii sermonis finibus concludi soleat, atque peculiaris peritia se ab aliis seiungere atque propriam scientiam absolutam putare studeat.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256:2)
234. Sanctus Ioannes a Cruce ostendit quemadmodum omnia bona quae in rebus et experientiis mundi explicantur “sint in Deo eminenter, infinito quodam modo, seu potius quod
unumquodque
ex his mirabilibus, quae de illo dicuntur, sit ipse Deus”.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297:1)
이전
14
/
17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