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sed inmedicabile corpus ense recidendum est, ne pars
sincera
trahatur.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변신 이야기, Book 1권 25:6)
Sic ubi deseruit madidos septemfluus agros Nilus et antiquo sua flumina reddidit alveo aetherioque recens exarsit sidere limus, plurima cultores versis animalia glaebis inveniunt, et in his quaedam modo coepta per ipsum nascendi spatium, quaedam
inperfecta
suisque trunca vident numeris;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변신 이야기, Book 1권 44:2)
Plura locuturum timido Peneia cursu fugit cumque ipso verba
inperfecta
reliquit, tum quoque visa decens.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변신 이야기, Book 1권 53:1)
Imperfectus
adhuc infans genetricis ab alvo eripitur, patrioque tener (si credere dignum est) insuitur femori maternaque tempora complet.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변신 이야기, Book 3권 31:19)
Nec tamen (usque adeo nulla est
sincera
voluptas, sollicitumque aliquid laetis intervenit) Aegeus gaudia percepit nato secura recepto.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변신 이야기, Book 7권 41:1)
Ponitur hic bicolor
sincerae
baca Minervae conditaque in liquida corna autumnalia faece intibaque et radix et lactis massa coacti ovaque non acri leviter versata favilla, omnia fictilibus.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변신 이야기, Book 8권 67:12)
rursus sine vulnere corpus
sincerumque
fuit!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변신 이야기, Book 12권 13:3)
nec mora, sermonis verba
inperfecta
relinquo, complectens animo proxima quaeque meo.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슬픔, 1권, poem 332)
necessitas
sincerarum
et honestarum disputationum;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22:10)
Crescens animadvertitur ambitus naturaeque curandae sensus, et
sincera
adulescit dolensque sollicitudo rerum quae nostro in orbe accidunt.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27:2)
Iter faciamus quod procul dubio
imperfectum
erit, per illas quaestiones quae hodie nos inquietant quasque iam non possumus sub tapete, ut aiunt, abscondere.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27:3)
Sufficit autem
sincere
realitatem conspicere ut cernamus magnum nostrae domus communis detrimentum.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78:2)
Idcirco de ambitu sollicitudo requiritur, quae cum
sincero
in homines amore nectitur atque cum continuato studio erga societatis quaestiones.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122:7)
Quocirca “praeter
sinceram
solidarietatem inter generationes, oportet urgens iteretur necessitas moralis renovatae solidarietatis intra generationes”.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210:7)
182. Provisa impactio ambitalis consiliorum ergolabicorum et inceptorum
sinceros
politicos et per dialogum excussos processus requirit, dum corruptela, quae veram ambitalem impactionem incepti per gratiarum commutationem tegit, saepe ad dubias pactiones faciendas ducit, quae ab officio renuntiationis nec non a diligenti dialogo abducunt.
(교황, 프란치스코, 회칙, 찬미받으소서 235:1)
이전
16
/
23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