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Quo magis expurgandus est sermo et adhibenda tamquam obrussa ratio, quae mutari non potest, nec utendum
pravissima
consuetudinis regula.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브루투스, 74장 1:7)
ille porro [male]
prave
, nequiter, turpiter cenaba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SECUNDUS 33:11)
quamvis enim depravatae non sint,
pravae
tamen esse possun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SECUNDUS 44:2)
sed ego ex te quaero, quoniam idem tu certe fecisses, nonne intellegas eo maiorem vim esse naturae, quod ipsi vos, qui omnia ad vestrum commodum et, ut ipsi dicitis, ad voluptatem referatis, tamen ea faciatis, e quibus appareat non voluptatem vos, sed officium sequi, plusque rectam naturam quam rationem
pravam
vale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SECUNDUS 75:4)
aut, si nihil malum, nisi quod turpe, inhonestum, indecorum,
pravum
, flagitiosum, foedum - ut hoc quoque pluribus nominibus insigne faciamus - , quid praeterea dices esse fugiendum?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TERTIUS 18:3)
atque ut a corpore ordiar, videsne ut, si quae in membris
prava
aut debilitata aut inminuta sint, occultent homine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QUINTUS 63:3)
sequitur ut eadem sit in is quae humano in genere ratio, eadem veritas utrobique sit eademque lex, quae est recti praeceptio
pravique
depulsio.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SECUNDUS 79:1)
Quid ad hanc
mansuetudinem
addi potest, eum, quicum bellum geras, tam molli nomine appella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PRIMUS 50:6)
Et tamen ita probanda est
mansuetudo
atque dementia, ut adhibeatur rei publicae causa severitas, sine qua administrari civitas non potes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PRIMUS 114:4)
quas res et
mansuetudo
animorum consecuta et verecundia est effectumque, ut esset vita munitior, atque ut dando et accipiendo mutuandisque facultatibus et commodandis nulla re egeremu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Secundus 19:6)
vehementer autem amor multitudinis commovetur ipsa fama et opinione liberalitatis, beneficentiae, iustitiae, fidei omniumque earum virtutum, quae pertinent ad
mansuetudinem
morum ac facilitatem.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Secundus 42:3)
dixistique non tam ea, quae recta essent, probari, quam quae
prava
, fastidiis adhaeresce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LIBER PRIMVS 258:3)
Facilitatis, liberalitatis,
mansuetudinis
, pietatis, grati animi, non appetentis, non avidi signa proferre perutile es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LIBER SECUNDUS 182:7)
Quod ubi sensi me in possessionem iudici ac defensionis meae constitisse, quod et populi benevolentiam mihi conciliaram, cuius ius etiam cum seditionis coniunctione defenderam, et iudicum animos totos vel calamitate civitatis vel luctu ac desiderio propinquorum vel odio proprio in Caepionem ad causam nostram converteram, tum admiscere huic generi orationis vehementi atque atroci genus illud alterum, de quo ante disputavi, lenitatis et
mansuetudinis
coepi: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LIBER SECUNDUS 200:1)
Sed ego in his praeceptis hanc vim et hanc utilitatem esse arbitror, non ut ad reperiendum quod dicamus, arte ducamur sed ut ea, quae natura, quae studio, quae exercitatione consequimur, aut recta esse confidamus aut
prava
intellegamus, cum quo referenda sint didicerimu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LIBER SECUNDUS 232:5)
이전
17
/
30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