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quis autem honesta in familia institutus et educatus ingenue non ipsa
turpitudine
, etiamsi eum laesura non sit, offendit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TERTIUS 49:1)
dicam de ceteris, quorum nemo erat qui videretur exquisitius quam vulgus hominum studuisse litteris, quibus fons perfectae elo - quentiae continetur, nemo qui philosophiam complexus esset matrem omnium bene factorum beneque dictorum, nemo qui ius civile didicisset rem ad privatas causas et ad oratoris prudentiam maxime necessariam, nemo qui memoriam rerum Romanarum teneret, ex qua, si quando opus esset, ab inferis locupletissimos testis excitaret, nemo qui breviter arguteque inluso adversario laxaret iudicum animos atque a severitate paulisper ad hilaritatem risumque traduceret, nemo qui dilatare posset atque a propria ac definita disputatione hominis ac temporis ad communem quaestionem universi generis orationem traducere, nemo qui delectandi gratia digredi parumper a causa, nemo qui ad
iracundiam
magno opere iudicem, nemo qui ad fletum posset adducere, nemo qui animum eius, quod unum est oratoris maxime proprium, quocumque res postularet, impelle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브루투스, 93장 3:2)
nam cum expectant et avent audire cur dolor malum non sit, dicunt illi asperum esse dolere, molestum, odiosum, contra naturam, difficile toleratu, sed, quia nulla sit in dolore nec fraus nec improbitas nec malitia nec culpa nec
turpitudo
, non esse illud malum.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QUARTUS 71:4)
sed alii dolore moventur, alii cupiditate,
iracundia
etiam multi efferuntur et, cum in mala scientes inruunt, tum se optime sibi consulere arbitrant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QUINTUS 39:1)
et si
turpitudinem
fugimus in statu et motu corporis, quid est cur pulchritudinem non sequam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QUINTUS 64:8)
quis est tam dissimilis homini, qui non moveatur et offensione
turpitudinis
et comprobatione honestati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QUINTUS 84:3)
accepimus enim deorum cupiditates aegritudines
iracundias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SECUNDUS 70:5)
deinde hac cohortamur hac persuademus, hac consolamur afflictos hac deducimus perterritos a timore, hac gestientes conprimimus hac cupiditates
iracundiasque
restinguimus, haec nos iuris legum urbium societate devinxit, haec a vita inmani et fera segregavi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SECUNDUS 148:4)
Vacandum autem omni est animi perturbatione, cum cupiditate et metu, tum etiam aegritudine et voluptate nimia et
iracundia
, ut tranquillitas animi et securitas adsit, quae affert cum constantiam, turn etiam dignitatem.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PRIMUS 90:1)
sed cum tempus necessitasque postulat, decertandum manu est et mors servituti
turpitudinique
anteponenda.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PRIMUS 105:5)
numquam enim, iratus qui accedet ad poenam, mediocritatem illam tenebit, quae est inter nimium et parum, quae placet Peripateticis, et recte placet, modo ne laudarent
iracundiam
et dicerent utiliter a natura datam.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PRIMUS 115:3)
Illa vero omnibus in rebus repudianda est optandumque, ut ii, qui praesunt rei publicae, legum similes sint, quae ad puniendum non
iracundia
, sed aequitate dicunt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PRIMUS 115:4)
Alter est, si tempore fit, ut si remisso animo, gravissimo homine dignus, alter ne libero quidem, si rerum
turpitudini
adhibetur verborum obscenita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PRIMUS 134:3)
Ludendi etiam est quidam modus retinendus, ut ne nimis omnia profundamus elatique voluptate in aliquam
turpitudinem
delabam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PRIMUS 134:4)
Rectum est autem etiam in illis contentionibus, quae cum inimicissimis fiunt, etiamsi nobis indigna audiamus, tamen gravitatem retinere,
iracundiam
pelle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PRIMUS 176:2)
이전
18
/
33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