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laxae manicae, caligae folli-cantes, vestis grossior, crebra suspiria, visitatio virginum, detractatio clericorurn, et si quando festior dies venerit, saturantur ad
vomitum
."
(히에로니무스, 편지들, An Eustochium 25:75)
"Canis revertens ad
vomitum
suum et sus ad volutabrum luti' Bruta quoque animalia et vagae aves in easdem pedicas retiaque non incidunt."
(히에로니무스, 편지들, Ad Furiam De Viduitate Seruanda 4:4)
Valentinianus vastato genitali solo et inultam patriam dereliquens
vomitu
sanguinis extinctus est.
(히에로니무스, 편지들, Ad Heliodorum Epitaphium Nepotiani 15:6)
Ille, quem despicimus, quem videre non possumus, ad cuius intuitum
vomitus
nobis erumpit, nostri similis est, de eodem nobiscum formatus luto, isdem conpactus elementis.
(히에로니무스, 편지들, Ad Oceanum De Morte Fabiolae 6:15)
Tale quid et Israhcletico fecisse dominum populo, ut cupientibus Aegyptias carnes usque ad nauseam et
vomitum
praeberet examina corturnicum, multosque saeculi prius homines facilius carere experta corporis voluptate quam cos, qui a pueritia libidinem nesciant;
(히에로니무스, 편지들, Ad Pacatulam 2:9)
et post
vomitum
contra fumum vini qui remansit in venis panem offerunt melle inlitum, et ita hominem ab ebrietatis malo dulcedo defendit.
(Macrobii Saturnalia, Liber VII, VII. 17:2)
utrum quod minus noceant animi
aegrotationes
quam corporis, an quod corpora curari possint, animorum medicina nulla si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3권 4:6)
Quia nomen insaniae significat mentis
aegrotationem
et morbum, id est insanitatem et aegrotum animum, quam appellarunt insaniam.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3권 8:8)
aegris enim corporibus simillima animi est aegritudo, at non similis
aegrotationis
est libido, non inmoderata laetitia, quae est voluptas animi elata et gestien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3권 23:4)
ipse etiam metus non est morbi admodum similis, quamquam aegritudini est finitimus, sed proprie, ut
aegrotatio
in corpore, sic aegritudo in animo nomen habet non seiunctum a dolo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3권 23:5)
doloris huius igitur origo nobis explicanda est, id est causa efficiens aegritudinem in animo tamquam
aegrotationem
in corpo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3권 23:6)
Quem ad modum, cum sanguis corruptus est aut pituita redundat aut bilis, in corpore morbi
aegrotationesque
nascuntur, sic pravarum opinionum conturbatio et ipsarum inter se repugnantia sanitate spoliat animum morbisque perturba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4권 22:3)
ex perturbationibus autem primum morbi conficiuntur, quae vocant illi νοσήματα, eaque quae sunt eis morbis contraria, quae habent ad res certas vitiosam offensionem atque fastidium, deinde
aegrotationes
, quae appellantur a Stoicis ἀρρωστήματα, isque item oppositae contrariae offensione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4권 23:1)
nam cum est concupita pecunia nec adhibita continuo ratio quasi quaedam Socratica medicina, quae sanaret eam cupiditatem, permanat in venas et inhaeret in visceribus illud malum, existitque morbus et
aegrotatio
, quae evelli inveterata non possunt, eique morbo nomen est avaritia;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4권 24:4)
similiterque ceteri morbi, ut gloriae cupiditas, ut mulierositas, ut ita appellem eam quae Graece φιλογυνία dicitur, ceterique similiter morbi
aegrotationesque
nascunt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4권 25:1)
이전
18
/
21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