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ex quibus ille maximum
sicarum
numerum et gladiorum extuli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IONES IN CATILINAM, ORATIO IN L. CATILINAM TERTIA 8:2)
Tum Cethegus, qui paulo ante aliquid tamen de gladiis ac
sicis
, quae apud ipsum erant deprehensa, respondisset dixissetque se semper bonorum ferramentorum studiosum fuisse, recitatis litteris debilitatus atque abiectus conscientia repente conticui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IONES IN CATILINAM, ORATIO IN L. CATILINAM TERTIA 10:8)
ferrea tum vero proles exorta repentest ausaque funestum primast fabricarier
ensem
et gustare manu iunctum domitumque iuvencum: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SECUNDUS 159:4)
sicae
venena peculatus, testamentorum etiam lege nova quaestione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TERTIUS 75:15)
Hinc
sicae
, hinc venena, hinc falsa testamenta nascuntur, hinc furta, peculatus, expilationes dir-ptionesque sociorum et civium, hinc opum nimiarum, potentiae non ferendae, postremo etiam in liberis civitatibus regnandi exsistunt cupiditates, quibus nihil nec taetrius nec foedius excogitari potes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의무론, LIBER TERTIUS 44:2)
extorta est ei confitenti
sica
de manibu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밀로 변호문, 7장 2:6)
itaque quando illius postea
sica
illa quam a Catilina acceperat conquievi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밀로 변호문, 14장 2:3)
ante senatum tua
sica
deprehensa es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Paradoxa stoicorum ad M. Brutum, Paradoxon IV, 2장 2:4)
virtutem videant intabescantque relicta, anne magis Siculi gemuerunt aera iuvenci, et magis auratis pendens laquearibus
ensis
purpureas subter cervices terruit, " imus imus praecipites " quam si sibi dicat et intus palleat infelix quod proxima nesciat uxor?
(페르시우스, 풍자, satire 329)
Iam pridem nullo perfundimus ora cruore, nec mea Tisiphone sitientis perluit artus, ex quo Sullanus bibit
ensis
et horrida tellus extulit in lucem nutritas sanguine fruges.'
(페트로니우스, 사티리콘, TITI PETRONI ARBITRI SATYRICON 120:15)
Non scelus adgredimur, non ad miscenda coimus Toxica, non stricto fulminat
ense
manus.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사랑, Liber secundus, poem 251)
Longaque subductam celant navalia pinum, Tutaque deposito poscitur
ense
rudis.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사랑, Liber secundus, poem 9a17)
- Aut, quod Penelopes verbis reddatur Ulixi, Scribimus et lacrimas, Phylli relicta, tuas, Quod Paris et Macareus et quod male gratus Iason Hippolytique parens Hippolytusque legant, Quodque tenens strictum Dido miserabilis
ensem
Dicat et Aoniae Lesbis amata lyrae.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사랑, Liber secundus, poem 1812)
Nobis fatifero Mavors accingitur
ense
;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사랑, Liber tertius, poem 316)
Ense
latus cinctum, quod tibi servit, erat;
(푸블리우스 오비디우스 나소, 사랑, Liber tertius, poem 811)
이전
19
/
43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