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Hunc qui audierant prudentes homines, in qui - bus familiaris noster L. Gellius, qui se illi contubernalem in consulatu fuisse narrabat, canorum oratorem et
volubilem
et satis acrem atque eundem et vehementem et valde dulcem et perfacetum fuisse diceba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브루투스, 27장 3:2)
Appi Claudi
volubilis
, sed paulo fervidior oratio.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브루투스, 28장 3:6)
verum multo magis hoc idem in sententiarum ornamentis et
conformationibus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브루투스, 37장 2:4)
C. Rusticelius Bononiensis, is quidem et exercitatus et natura
volubilis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브루투스, 46장 1:3)
incitata et
volubilis
nec ea redundans tamen nec circumfluens oratio.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브루투스, 55장 3:4)
cognitis autem rerum finibus, cum intellegitur, quid sit et bonorum extremum et malorum, inventa vitae via est
conformatioque
omnium officiorum, cum quaeritur, quo quodque referat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최선과 최악에 관하여, LIBER QUINTUS 21:5)
Tum Velleius fidenter sane, ut solent isti, nihil tam verens quam ne dubitare aliqua de re videretur, tamquam modo ex deorum concilio et ex Epicuri intermundiis descendisset, Audite inquit "non futtilis commenticiasque sententias, non opificem aedificatoremque mundi Platonis de Timaeo deum, nec anum fatidicam Stoicorum Pronoeam, quam Latine licet Providentiam dicere, neque vero mundum ipsum animo et sensibus praeditum rutundum ardentem
volubilem
deum, portenta et miracula non disserentium philosophorum sed somniantium.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PRIMUS 18:1)
nam cum praestantissumam naturam, vel quia beata est vel quia sempiterna, convenire videatur eandem esse pulcherrimam, quae conpositio membrorum, quae
conformatio
liniamentorum, quae figura, quae species humana potest esse pulchrio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PRIMUS 47:1)
omnem enim talem
conformationem
animi ceteri philosophi motum inanem vocant, vos autem adventum in animos et introitum imaginum diciti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PRIMUS 105:4)
Hic quam volet Epicurus iocetur, homo non aptissimus ad iocandum minimeque resipiens patriam, et dicat se non posse intellegere qualis sit
volubilis
et rutundus deus, tamen ex hoc, quod etiam ipse probat, numquam me movebi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SECUNDUS 46:1)
Quae enim classium navigatio aut quae instructio exercitus aut, rursus ut ea quae natura efficit conferamus, quae procreatio vitis aut arboris, quae porro animantis figura
conformatioque
membrorum tantam naturae sollertiam significat quantam ipse mundu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신의 본질에 관하여, LIBER SECUNDUS 85:3)
quae motu corporis, quae gestu, quae vultu, quae vocis
conformatione
ac varietate moderanda es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LIBER PRIMVS 18:2)
omnia sunt enim illa dona naturae - quid de illis dicam, quae certe cum ipso homine nascuntur, linguae solutio, vocis sonus, latera, vires,
conformatio
quaedam et figura totius oris et corpori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LIBER PRIMVS 114:4)
tum ipsa conlocatio
conformatioque
verborum perficitur in scribendo, non poetico, sed quodam oratorio numero et modo.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LIBER PRIMVS 151:3)
ut res caecas et ab aspectus iudicio remotas
conformatio
quaedam et imago et figura ita notaret, ut ea, quae cogitando complecti vix possemus, intuendo quasi teneremu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LIBER SECUNDUS 357:5)
이전
3
/
6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