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Culpavit
autem primum hoc, quod Cato inerudite et ἀναγώγωσ, ut ipse ait, principio nimis insolenti nimisque acri et obiurgatorio usus sit, cum vereri sese ostendit ne patres, gaudio atque laetitia rerum prospere gestarum de statu mentis suae deturbati, non satis consiperent neque ad recte intellegendum consulendumque essent idonei.
(아울루스 겔리우스, 아테네의 밤, A. Gellii Noctium Atticarum Liber Sextus, III 13:1)
Sed quod sit oblatum, quod conceptum, et pleraque alia ad eam rem ex egregiis veterum moribus accepta neque inutilia cognitu neque
iniucunda
qui legere volet, inveniet Sabini librum cui titulus est De Furtis.
(아울루스 겔리우스, 아테네의 밤, Liber Undecimus, XVIII 13:2)
(quam das finem,
iniucundum
nescio quo pacto et laxiorem vocis sonum feceris.
(아울루스 겔리우스, 아테네의 밤, Liber Tertius Decimus, XXI 13:6)
Feras, non
culpes
, quod vitari non potest.
(아울루스 겔리우스, 아테네의 밤, Liber Septimus Decimus, XIV 5:3)
Sed adhuc magis
culpanda
est illa definitio;
(FRANCIS BACON, NOVUM ORGANUM, Liber Secundus 451:15)
In qua parte non
injucundum
foret experimentum, quod noviter audivimus esse tentatum, de insitione arborum sylvestrium (quae hucusque in arboribus hortensibus fieri consuevit), unde folia et glandes majorem in modum amplificantur, et arbores fiunt magis umbrosae.
(FRANCIS BACON, NOVUM ORGANUM, Liber Secundus 492:11)
"Non aliquem
culpes
", respondet subdola uulpes, "Non sic deceptus, nec tam foret ultro prouectus, Si supradictorum frueretur quolibet horum".
(BALDO, NOUUS ESOPUS, XIII. De uulpe, leone et asino 14:9)
Ut autem cognovit Ieremias,
culpans
illos dixit quod ignotus erit locus, donec congreget Deus congregationem populi et misericordia fiat;
(불가타 성경, 마카베오기 하권, 2장7)
cuius satietatem si superfluis urguere uelis, aut
iniucundum
quod infuderis fiet aut noxium.
(보이티우스, De philosophiae consolatione, Liber Secundus, IX 3:12)
Neque id nunc molior quod cuiuis ueniat in mentem, corrigi ultione prauos mores et ad rectum supplicii terrore deduci, ceteris quoque exemplum esse
culpanda
fugiendi;
(보이티우스, De philosophiae consolatione, Liber Quartus, VII 2:7)
quid carmina
culpas
?
(클라우디아누스, ex Carminibus Minoribus, In podagrum qui carmina sua non stare dicebat2)
Saepenumero civitatis nostrae principes audio
culpantes
modo agrorum infecunditatem, modo caeli per multa iam tempora noxiam frugibus intemperiem;
(콜루멜라, 루키우스 유니우스 모데라투스, 농업론, 1권, 머리말 1:1)
Eadem hominibus non inutilis neque
iniucunda
est;
(콜루멜라, 루키우스 유니우스 모데라투스, 농업론, 2권, 10장 35:4)
si tamen haec pingui glebae permixta sunt, nam eadem ieiuna maxime
culpantur
.
(콜루멜라, 루키우스 유니우스 모데라투스, 농업론, 3권, 11장 7:5)
et ut erat comis bonis, ita adversus malos
iniucundus
.
(코르넬리우스 타키투스, 아그리콜라 전기, 22장 4:4)
이전
4
/
12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