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ne iambus quidem, qui est e brevi et longa, aut par choreo qui habet tris brevis trochaeus, sed spatio par, non syllabis, aut etiam
dactylus
, qui est e long et duabus brevibus, si est proximus a postremo, parum volubiliter pervenit ad extremum, si est extremus choreus aut spondeu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64장 2:1)
Sed idem hi tres pedes male concludunt, si quis eorum in extremo locatus est, nisi cum pro cretico postremus est
dactylus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64장 2:3)
nihil enim interest
dactylus
sit extremus an creticus, quia postrema syllaba brevis an longa sit ne in versu quidem refer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64장 2:4)
est ad velocitatem corporis revolventis in circulo ad eandem distantiam, in dimidiata ratione numeri
binarii
ad unitatem;
(아이작 뉴턴,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물체들의 움직임에 대하여 1권, SECT. III. De motu Corporum in Conicis Sectionibus excentricis. 43:3)
Si ratio illa est numeri
binarii
ad unitatem, punctum A cadet ad infinitam distantiam, quo in casu Parabola uertice S, axe SC, latere quovis recto describenda est.
(아이작 뉴턴,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물체들의 움직임에 대하여 1권, SECT. VII. De Corporum Ascensu & Descensu Rectilineo. 31:3)
neque solum alium pro alio pedem metrorum ratio non recipit, sed ne
dactylum
quidem aut forte spondeum alterum pro altero.
(퀸틸리아누스, 변론 가정 교육, Liber IX 306:1)
itaque si quinque continuos
dactylos
, ut sunt illo omnipotentis Olympi confundas, solveris versum.
(퀸틸리아누스, 변론 가정 교육, Liber IX 306:2)
ex iis vero, qui ternas syllabas habent,
dactylum
longa duabusque brevibus, huic temporibus parem, sed retro actum appellari constat anapaeston.
(퀸틸리아누스, 변론 가정 교육, Liber IX 338:1)
nisi potius hoc esse volumus
dactylum
et bacchium.
(퀸틸리아누스, 변론 가정 교육, Liber IX 358:2)
Ne
dactylus
quidem spondeo bene , quia finem versus damnamus fine orationis.
(퀸틸리아누스, 변론 가정 교육, Liber IX 359:1)
cludet et
dactylus
, nisi eum observatio ultimae creticum facit:
(퀸틸리아누스, 변론 가정 교육, Liber IX 361:3)
illa sublimia spatiosas clarasque voces habentia amant amplitudinem
dactyli
quoque ac paeanis, etiamsi maiore ex parte syllabis brevibus, temporibus tamen satis pleni.
(퀸틸리아누스, 변론 가정 교육, Liber IX 393:1)
misisti et, triplicis metrum trochaei spondeo comitante
dactyloque
, dulces hendecasyllabos, tuumque blando faenore Sollium ligasti.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 Carmina, Ad Consentium6)
Si igitur duo prima latera propositae formulae, quae faciunt angulum ab uno ad x et x procedentia, respiciantur et his subteriores ordines comparentur, qui scilicet a iiij angulum incipientes in vicenos terminum ponunt, duplex, id est prima species multiplicitatis ostenditur ita, ut primus primum sola superet unitate, ut duo unum, secundus secundum
binario
supervadat, ut quaternarius
binarium
, tertius tertium tribus, ut senarius ternarium, quartus quartum quaternarii numerositate transcendat, ut viij quaternarium, et per eandem cuncti sequentiam sese minoris pluralitate praetereant.
(보이티우스, De Arithmetica, Liber primus, Ratio atque expositio digestae formulae. 1:1)
Nam cum vj ex
binario
ternarioque nascantur, tres
binarium
numerum uno superant, cunctique alii eiusdem modi sunt, ut primo et secundo ordine ad alterutrum multiplicatis terminis procreentur, ita ut quod nascitur ex duobus longilateris altrinsecus positis et bis medio tetragono tetragonus sit;
(보이티우스, De Arithmetica, Liber primus, Ratio atque expositio digestae formulae. 2:11)
이전
7
/
8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