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et sic hoc dictum est, ut in bucolicis alter erit tum Tiphys et altera quae vehat Argo delectos
heroas
.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SERVII GRAMMATICI IN VERGILII AENEIDOS LIBRVM SEXTVM COMMENTARIVS., commline 892)
exordia pugnae id est
cervi
interitum.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SERVII GRAMMATICI IN VERGILII AENEIDOS LIBRVM SEPTIMVM COMMENTARIVS., commline 401)
aut 'duros', qui
cervi
interitum non dolebant.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SERVII GRAMMATICI IN VERGILII AENEIDOS LIBRVM SEPTIMVM COMMENTARIVS., commline 5042)
terrorum et fravdis abunde est terror est ex morte tot hominum, fraus vero ex
cervi
vulneratione.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SERVII GRAMMATICI IN VERGILII AENEIDOS LIBRVM SEPTIMVM COMMENTARIVS., commline 5521)
haec nemora indigenae favni 'indigenae', id est inde geniti, ἀυτόχθονεσ. et sciendum secundum Hesiodi theogoniam primo deos genitos, inde hemitheos, post
heroas
, inde homines innocentes, ultimos sceleratos: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SERVII GRAMMATICI IN VERGILII AENEIDOS LIBRVM OCTAVVM COMMENTARIVS., commline 3141)
sed hoc quia indignum erat
heroo
carmine, mutavit et induxit primo loquentem Iovem de interruptis foederibus, cuius orationem interrupit Venus, post secuta Iunonis verba sunt quibus redarguit Venerem: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SERVII GRAMMATICI IN VERGILII AENEIDOS LIBRVM DECIMVM COMMENTARIVS., commline 1042)
an potius
cervum
nanctus alioquin instat?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SERVII GRAMMATICI IN VERGILII AENEIDOS LIBRVM DVODECIMVM COMMENTARIVS., commline 7502)
aut, quod melius est, 'figere
cervos
' venari et iaculari in- tellegamus, ut magis ad voluptatem eum quam ad laborem invitare videatur.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In Vergilii Bucolicon Librum, ECLOGA SECVNDA., commline 292)
nec retia
cervis
ulla d. m. adeo placet simplicitas Daphnidi, ut etiam ille dolus, qui voluptati antea fuerat, con- quiescat, scilicet venationis.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In Vergilii Bucolicon Librum, ECLOGA QVINTA., commline 601)
sic alibi "timidi dammae
cervique
fugaces":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In Vergilii Bucolicon Librum, ECLOGA OCTAVA., commline 284)
testa cum ardente propter vilitatem lucernam noluit dicere, nec iterum lychnum, sicut in
heroo
carmine, ut "dependent lychni":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Georgics of Vergil, 1권, commline 3911)
inbelles
cervi
licet inbelles, tamen moventur in pugnam.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Georgics of Vergil, 3권, commline 2651)
cervi
enim congregatione gratulantur.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Georgics of Vergil, 3권, commline 3692)
Horatius "et superiecto pavidae natarunt aequore dammae". dicendo autem dammas et
cervos
errare cum canibus, duo ostendit, et hos timoris et illos ferocitatis oblitos.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Commentary on the Georgics of Vergil, 3권, commline 5393)
Qua re nolite existimare me ipsum, qui non
heroum
veteres casus fictosque luctus velim imitari atque adumbrare dicendo neque actor sim alienae personae, sed auctor meae, cum mihi M'. Aquilius in civitate retinendus esset, quae in illa causa peroranda fecerim, sine magno dolore feciss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LIBER SECUNDUS 194:3)
이전
8
/
16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