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et omne concilium tuum
stet
contra Dominum? Quid est enim Aaron, ut murmuretis contra eum? ".
너와 너의 무리는 바로 주님을 거슬러 모여든 것이다. 아론이 누구인데 너희가 그에게 투덜댄다는 말이냐?”
(불가타 성경, 민수기, 16장11)
Dixitque ad Core: " Tu et omne concilium tuum
state
seorsum coram Domino, et Aaron die crastino separatim.
모세가 코라에게 말하였다. “너와 너의 무리는 모두 내일 주님 앞으로 나오너라. 너와 그들, 그리고 아론이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16장16)
Quod cum fecissent,
stantibus
Moyse et Aaron,
그리하여 그들은 저마다 향로를 들어 불을 담고 그 위에 향을 피운 다음, 모세와 아론과 함께 만남의 천막 어귀에 섰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16장18)
Cumque recessissent a tentoriis eorum per circuitum, Dathan et Abiram egressi
stabant
in introitu papilionum suorum cum uxoribus et filiis et parvulis.
그러자 공동체는 코라와 다탄과 아비람의 거처 주변에서 물러섰다. 다탄과 아비람은 밖으로 나와, 그들의 아내와 아들과 어린것들과 함께 자기들의 천막 어귀에 섰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16장27)
At vero omnis Israel, qui
stabat
per gyrum, fugit ad clamorem pereuntium dicens: " Ne forte et nos terra deglutiat ".
그들의 비명 소리에 주위에 있던 이스라엘인들은 모두, “땅이 우리마저 삼킬지 모른다!” 하며 도망쳤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16장34)
et
stetit
inter mortuos ac viventes, et plaga cessavit.
그가 죽은 이들과 산 이들 사이에 서자, 재난이 그쳤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17장13)
Quod cum audisset Chana naeus rex Arad, qui habita bat in Nageb, venisse scilicet Israel per viam Atarim,
pugnavit
contra illum et duxit ex eo captivos.
이스라엘이 아타림 길로 온다는 소식을 네겝에 사는 가나안 사람, 아랏 임금이 듣고, 이스라엘에 맞서 싸워 그들 가운데 얼마를 포로로 잡아갔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21장1)
Qui concedere noluit, ut transiret Israel per fines suos; quin potius, populo congregato, egressus est obviam in desertum et venit in Iasa
pugnavitque
contra Israel.
그러나 시혼은 이스라엘이 자기 영토를 지나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스라엘을 치려고 모든 군대를 모아 광야로 나왔다. 그는 야하츠에 이르러 이스라엘과 싸웠으나,
(불가타 성경, 민수기, 21장23)
Hesebon enim erat urbs Sehon regis Amorraei, qui
pugnavit
contra primum regem Moab et tulit omnem terram, quae dicionis illius fuerat usque Arnon.
헤스본은 아모리인들의 임금 시혼의 성읍이었다. 시혼은 모압의 이전 임금과 싸워, 아르논에 이르기까지 그의 땅을 모두 빼앗은 임금이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21장26)
Verteruntque se et ascenderunt per viam Basan, et occurrit eis Og rex Basan cum omni populo suo
pugnaturus
in Edrai.
그들은 몸을 돌려 바산 가는 길로 올라갔다. 그러자 그들을 맞아 싸우려고 바산 임금 옥이 모든 군대를 거느리고 에드레이로 나왔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21장33)
dicens: "Ecce populus, qui egressus est de Aegypto, operuit superficiem terrae; veni et maledic ei pro me, si quo modo possim
pugnans
abigere eum".
‘어떤 백성이 이집트에서 나와 온 땅을 덮었습니다. 와서 나를 위하여 그들을 저주해 주십시오. 그러면 내가 그들과 싸워 그들을 몰아낼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고 말하였습니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22장11)
Et iratus est Deus, cum profectus esset;
stetitque
angelus Domini in via contra Balaam, ut adversaretur ei, qui insidebat asinae et duos pueros habebat secum.
하느님께서는 발라암이 가는 것을 보고 진노하셨다. 그래서 주님의 천사가 그를 막으려고 길에 서 있었다. 발라암은 나귀를 타고 가고, 하인 둘도 그와 함께 있었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22장22)
Cernens asina angelum Domini
stantem
in via, evaginato gladio in manu sua, avertit se de itinere et ibat per agrum. Quam cum verberaret Balaam et vellet ad semitam reducere,
나귀는 주님의 천사가 칼을 빼어 손에 들고 길에 서 있는 것을 보고는, 길을 비켜나 밭으로 들어갔다. 발라암은 나귀를 때려 다시 길로 들어서게 하였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22장23)
stetit
angelus Domini in angustiis duarum maceriarum, quibus vineae cingebantur.
그러자 주님의 천사가 포도밭들 사이, 양쪽에 담이 있는 좁은 길에 섰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22장24)
et angelus Domini iterum transiens ad locum angustum, ubi nec ad dexteram nec ad sinistram poterat deviare, obvius
stetit
.
주님의 천사가 앞으로 더 나아가, 오른쪽으로도 왼쪽으로도 비켜날 길이 없는 좁은 곳에 섰다.
(불가타 성경, 민수기, 22장26)
이전
8
/
331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