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Etsi enim a forma veritatis et ab Atticorum regula
absunt
, tamen hoc vitium compensant vel facultate vel copia.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69장 2:2)
Abesse
non potest quin eiusdem hominis sit probos improbare qui improbos probe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70장 2:4)
atqui ista omnia talia videmus, ut et inprobi habeant et
absint
probi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Paradoxa stoicorum ad M. Brutum, Paradoxon I, 1장 1:3)
Extrinsecus autem ea ducuntur quae
absunt
longeque disiuncta sun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토피카, 2장 3:4)
Abest
etiam nunc.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토피카, 6장 1:25)
nam ne
praeterirem
aliquid quod ad argumentum in omni ratione reperiendum pertineret, plura quam a te desiderata erant sum complexus fecique quod saepe liberales venditores solent, ut, cum aedes fundumve vendiderint rutis caesis receptis, concedant tamen aliquid emptori quod ornandi causa apte et loco positum esse videat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토피카, 26장 4:1)
Auctoribus quidem ad istam sententiam, quam vis obtineri, uti optimis possumus, quod in omnibus causis et debet et solet valere plurimum, et primum quidem omni antiquitate, quae quo propius
aberat
ab ortu et divina progenie, hoc melius ea fortasse quae erant vera cerneban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1권 26:3)
tantum autem
abest
ab eo ut malum mors sit, quod tibi dudum videbatur, ut verear ne homini nihil sit non malum aliud certius, nihil bonum aliud potius, si quidem vel di ipsi vel cum dis futuri sumus . . . . Quid refer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1권 75:4)
itaque non deterret sapientem mors, quae propter incertos casus cotidie imminet, propter brevitatem vitae numquam potest longe
abesse
, quo minus in omne tempus rei p. suisque consulat, cum posteritatem ipsam, cuius sensum habiturus non sit, ad se putet pertine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1권 89:8)
sed tamen tantum
abest
ut scribi contra nos nolimus, ut id etiam maxime optemu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2권 4:4)
longe igitur
abest
a summo dolo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2권 44:17)
qui pecuniae cupiditate, qui voluptatum libidine feruntur, quorumque ita perturbantur animi, ut non multum
absint
ab insania, quod insipientibus contingit omnibus, is nullane est adhibenda curatio?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3권 4:5)
aberit
igitur a sapiente aegritudo.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3권 18:7)
abest
ergo a sapiente aegritudo.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3권 21:8)
sed ad eundem fontem revertendum est, aegritudinem omnem procul
abesse
a sapiente, quod inanis sit, quod frustra suscipiatur, quod non natura exoriatur, sed iudicio, sed opinione, sed quadam invitatione ad dolendum, cum id decreverimus ita fieri oporte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3권 82:3)
이전
80
/
135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