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도구
도구
문장 검색
도구
- 통합검색
사전
- 라틴어-한국어 사전
- 한국어-라틴어 사전
- 라틴어 단어 색인
- 사전 보는 법
- 문장 검색
- 로마 숫자 변환기
-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 발음 표기법 일람
- 언어탐지기
- 문법 용어 정리
- 입력기
- 라틴어 사이트 검색
- 분석기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문장 검색
라틴어 형태로 검색
라틴어 기본형으로 검색
한국어로 검색
heredem testamento reliquit hunc P. Quinctium ut, ad quem summus maeror morte sua veniebat, ad eundem summus honos quoque
perveniret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큉크티우스 변호문, 4장 1:2)
quis tam dissolutus in re familiari fuisset, quis tam neglegens, quis tam tui, Sexte, dissimilis qui, cum res ab eo quicum contraxisset recessisset et ad heredem
pervenisset
, non heredem, cum primum vidisset, certiorem faceret, appellaret, rationem adferret, si quid in controversiam veniret, aut intra parietes aut summo iure experiret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큉크티우스 변호문, 11장 2:3)
ut ocius ad tuum
pervenias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큉크티우스 변호문, 13장 2:12)
inveniri ratio, C. Aquili, non potest ut ad suum quisque quam primum sine cuiusquam dedecore, infamia pernicieque
perveniat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큉크티우스 변호문, 14장 1:1)
docui quod primum pollicitus sum, C. Aquili, causam omnino cur postularet non fuisse, quod neque pecunia debebatur et, si maxime deberetur, commissum nihil esset qua re ad istam rationem
perveniretur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큉크티우스 변호문, 19장 1:1)
Magnum fecissemus, si quidem potuissemus quo contendimus
pervenire
in ea urbe in qua, ut ait Antonius, auditus eloquens nemo era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30장 1:4)
et quoniam in omnibus quae ratione docentur et via primum constituendum est quid quidque sit - nisi enim inter eos qui disceptant convenit quid sit illud quod ambigitur, nec recte disseri umquam nec ad exitum
perveniri
potest - , explicanda est saepe verbis mens nostra de quaque re atque involuta rei notitia definiendo aperienda est, si quidem est definitio oratio, quae quid sit id de quo agitur ostendit quam brevissim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33장 1:1)
nec umquam is qui audiret incenderetur, nisi ardens ad eum
perveniret
oratio.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38장 2:3)
Nam circuitus ille, quem saepe iam diximus, incitatior numero ipso fertur et labitur, quoad
perveniat
ad finem et insistat.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56장 1:3)
ne iambus quidem, qui est e brevi et longa, aut par choreo qui habet tris brevis trochaeus, sed spatio par, non syllabis, aut etiam dactylus, qui est e long et duabus brevibus, si est proximus a postremo, parum volubiliter
pervenit
ad extremum, si est extremus choreus aut spondeus;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ORATOR AD M. BRVTVM, 64장 2:1)
pervenisse
ad me numquam putavi, nisi forte, cum parietes disturbabas aut cum tectis sceleratas faces inferebas, meorum aliquid ruere aut deflagrare arbitraba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Paradoxa stoicorum ad M. Brutum, Paradoxon IV, 1장 1:5)
quam cum tibi exposuissem, disciplinam inveniendorum argu- mentorum, ut sine ullo errore ad ea ratione et via
perveni
- remus, ab Aristotele inventam illis libris contineri, verecunde tu quidem ut omnia, sed tamen facile ut cernerem te ardere studio, mecum ut tibi illa traderem egisti.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토피카, 1장 2:1)
quae morte alicuius ad quempiam
pervenit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토피카, 6장 1:8)
Hereditas est pecunia quae morte alicuius ad quem- piam
pervenit
iure.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토피카, 6장 1:14)
ut, quae a nobis alienata, cum ad hostem
pervenerint
, ex suo tamquam limine exierint, hinc ea cum redierint post ad idem limen, postliminio redisse videantur.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토피카, 8장 5:1)
이전
86
/
153
페이지
다음
LOGIN
로그인
회원가입
SEARCH
MENU NAVIGATION
살아있는 라틴어
왜 라틴어인가
생활 속 라틴어
해리포터 속 라틴어
고대 라틴어
고전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
문법 요소
명사 변화(곡용)
격의 용법
동사 변화(활용)
시제와 시상
달력과 날짜 표기
접속법의 용법
조건절의 사용
후기 라틴어
중세 라틴어
르네상스 라틴어
신 라틴어
위키
공지사항
라틴어 명언들
주제별 분류
출처별 분류
드립 모음
도구
통합검색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한국어-라틴어 사전
라틴어 단어 색인
사전 보는 법
문장 검색
로마 숫자 변환기
로마 달력 변환기
라틴어 발음 변환기
발음 표기법 일람
언어탐지기
문법 용어 정리
입력기
라틴어 사이트 검색
분석기
라틴어 텍스트
전체 색인
Oxford Latin Course
Part I
Part II
Part III
가톨릭 기도문
주님의 기도
성모송
대영광송
소영광송
노래
인터내셔널가
성경
본문
카이사르
갈리아 전기
내란기
불확실 저서
호라티우스
첫번째 편지
두번째 편지
풍자
푸블릴리우스
격언집
코퍼스 보기
아카이브
라틴어 Q&A
링크
살아있는 헬라어
ILAB
라틴어 보기 모드
X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