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22.06.23 06:22
세개 이상의 음절로 구성된 단어는 끝에서 둘째 모음이 장음이면 끝에서 둘째 모음에 강세가 오고, 끝에서 둘째 모음이 단음이면 끝에서 셋째 모음에 온다고 알고 있는데
교회라틴어에선 원래 장음절인 모음이 강세가 없으면 단모음으로 발음하고 강세가 있으면 장모음으로 발음한다고 알고있습니다
장모음이 단모음이 되면 고전라틴어에선 둘째모음에 악센트가 가는 게 교회에선 같은 단어라도 셋째 모음 악센트가 가는 경우가 있나요?
둘째모음에 강세가 없을경우 단모음이 되니까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602 | 집회서 14장 18 ,19절부터 [1] (2022.08.12) | yoon | 2022.08.12 | 63 |
1601 | 라틴어 작문 부탁드립니다. 도와주세요 [1] (2022.08.10) | 라틴어로 | 2022.08.10 | 150 |
1600 | 라틴어 문구 질문드립니다. [1] (2022.08.09) | 바다 | 2022.08.09 | 100 |
1599 | 요한복음 15장 5절 분석 의견 [1] (2022.08.06) | amicus | 2022.08.06 | 100 |
1598 | 이사야 54:10절의 miserator(가엽게 여겨주시는 분)(의견) [1] (2022.08.05) | amicus | 2022.08.05 | 77 |
1597 | Quisquis in alterius fortunis incubas. [2] (2022.08.03) | 평리동 | 2022.08.03 | 82 |
1596 | 현재 부정사와 동사 과거형이 같이 쓰이기도 하나요? [1] (2022.07.31) | Flavus | 2022.07.31 | 93 |
1595 | 라틴어 문장 질문 있습니다 [2] (2022.07.29) | Jbhb | 2022.07.29 | 125 |
1594 | non possum non=i must 부연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2] (2022.07.28) | 평리동 | 2022.07.28 | 106 |
1593 | magnis spiris tenent. tenere가 대격을 취하지 않나요? [3] (2022.07.28) | 평리동 | 2022.07.28 | 76 |
1592 | 열왕기 하권 22장 8-11절 라틴어 분석(의견) [1] (2022.07.21) | amicus | 2022.07.21 | 87 |
1591 | 그라쿠스 형제의 동상 아래 쓰여있는 문구가 무슨 뜻인가요? [1] (2022.07.21) | Ppaekkom | 2022.07.21 | 129 |
1590 | 라틴어 문법적으로 맞나요? [4] (2022.07.15) | Dawn | 2022.07.15 | 130 |
1589 | 탈격 용법 질문드립니다 [1] (2022.07.14) | Flavus | 2022.07.14 | 94 |
1588 | “나의 가족이라서 고마워” 한국어로 번역해주세요,, [1] (2022.07.12) | 레털 | 2022.07.12 | 120 |
1587 | 라틴어 문서 작문에서 고칠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2022.07.12) | CAU_Paulus | 2022.07.12 | 78 |
1586 | 라틴어 작문 봐주세요! [2] (2022.07.11) | Dd | 2022.07.11 | 98 |
1585 | 라틴어 문구 질문드립니다! [1] (2022.07.11) | ㅎㅎ | 2022.07.11 | 114 |
1584 | 라틴어 문구 관련 질문드립니다. [2] (2022.07.10) | ㅇㅇ | 2022.07.10 | 93 |
1583 | 안녕하세요 해석 및 수정 부탁드립니다 ㅠ [2] (2022.07.04) | 꼬들꼬들 | 2022.07.04 | 145 |
안녕하세요 학생님~
그렇지 않습니다. 간략하게 변천사를 설명해드리자면, 고전 라틴어에서는 모음의 장단이 구분되었고, 장단에 의해 자동으로 강세의 위치가 정해졌습니다. 따라서 고전 라틴어에서는 모음의 장단을 알면 강세 위치를 자동으로 알 수 있었고, 그 반대로 강세를 알면 모음의 장단을 유추할 수 있었죠.
그러나 중세로 넘어가면서 라틴어 모음의 장단 구분이 소실되어갑니다. (현대 한국어에서 장단모음을 잘 구분하지 않게 된것처럼요.) 그래서 예전에는 장단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알 수 있던 단어의 강세가 서서히 단어 각각 고유의 특징이 됩니다. 즉 어떤 단어는 강세가 끝에서 두번째 모음에 있고, 어떤 단어는 끝에서 세번째 모음에 있더라~ 는 식으로 암기하는 문제가 되어버린거죠. 그렇게 단어 강세의 위치는 고전 라틴어의 잔재로 남아 단어별로 전해지고, 모음의 장단을 구분하지 않는 상황에서 강세가 있는 모음을 강하게 발음하다 보니 무의식적으로 강세를 받는 모음이 그렇지 않은 모음보다 길게 발음되는 상황이 발생한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회 라틴어에서 모음의 장단은 강세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애초에 모음의 장단이 변별되는 자질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게 정확하겠죠.
정리하자면
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