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의 용법

조회 수 11875 추천 수 0 2023.09.08 14:12:14
제목 작성자 날짜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 주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sum 동사와 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0:50:17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주격의 용법 ===
# 주어

주격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라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 변화를 하므로,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 생략할 수가 있으니, 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보어
주격은 또한 동사의 주격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도 쓰입니다. 주로 sum 동사와 fio 동사가 주격 보어를 가지며, 다른 동사들도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경우 주격으로 보어를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0:38:44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속격 ==
'''속격(Genitive Case)'''는 '''소유격''', '''제2격'''이라고도 불리며 기본적으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여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경우 한국어로 '-의' 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소유관계(예: 마리아의 집)나 행위의 주체자(예: 그에 대한 마리아의 사랑- 그가 마리아를 사랑함), 행위의 대상(예: 생명의 보호 - 생명을 보호함), 물질이나 구성요소(한 무리의 사람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되는 동사의 경우 목적어를 속격으로 받거나, 주관적 가치를 나타내는데 속격을 나타내기도 하며, 속격의 형태를 이용해 행위가 벌어지는 장소를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0:32:09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Case)'''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속격 ==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0:29:06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주격(Nominative Case)'''은 문장에서 주어나 주격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로 '-이', '-가'로 해석되며 대부분의 문장에서 등장하므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격입니다. 그렇기에 주격은 사전에서 명사나 형용사의 기본형으로 주어집니다.

== 속격 ==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0:28:48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격은 해당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문법적 요소입니다. 라틴어에서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8격 중 6격만 살아남아있지만, 8격의 흔적 모두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도유럽어에는 총 8개('''주격(Nominative)''', '''속격(Genitive)''', '''여격(Dative)''', '''대격(Accusative)''', '''탈격(Ablative)''', '''호격(Vocative)''', '''처소격(Locative)''', '''도구격(Instrumental)''')의 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처소격과 도구격은 사라져서 라틴어에서는 흔적만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주격 ==


== 속격 ==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0:25:47
복원
= 라틴어의 6가지 격 =

== 주격 ==
== 속격 ==
== 여격 ==
== 대격 ==
== 탈격 ==
== 호격 ==
bab2min 2019.08.27 00:04:58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