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Licinius

1/2변화 형용사; 고유 씨족명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기본형: Licinius, Licinia, Licinium

  1. 리키니우스 가문 (로마 씨족명)
  1. Licinius

격변화 정보

1/2변화
남성 여성 중성
단수 단수 단수
주격 Licinius

리키니우스 가문 (이)가

Licinia

리키니우스 가문 (이)가

Licinium

리키니우스 가문 (것)가

속격 Liciniī

리키니우스 가문 (이)의

Liciniae

리키니우스 가문 (이)의

Liciniī

리키니우스 가문 (것)의

여격 Liciniō

리키니우스 가문 (이)에게

Liciniae

리키니우스 가문 (이)에게

Liciniō

리키니우스 가문 (것)에게

대격 Licinium

리키니우스 가문 (이)를

Liciniam

리키니우스 가문 (이)를

Licinium

리키니우스 가문 (것)를

탈격 Liciniō

리키니우스 가문 (이)로

Liciniā

리키니우스 가문 (이)로

Liciniō

리키니우스 가문 (것)로

호격 Licinī

리키니우스 가문 (이)야

Licinia

리키니우스 가문 (이)야

Licinium

리키니우스 가문 (것)야

원급 최상급
형용사 Licinius

리키니우스 가문 (이)가

Liciniissimus

가장 리키니우스 가문 (이)가

부사 Liciniē

Liciniissimē

제시된 형태 중 음영이 칠해진 것은 실제 코퍼스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규칙에 의해 자동 생성된 것입니다.

예문

  • Sulpicius et Licinius Damasippus paucis, quae fieri vellet, Uticae constituit atque imperavit diebusque post paucis se in regnum cum omnibus copiis recepit. (CAESAR, COMMENTARIORVM DE BELLO CIVILI, SECVNDVS 44:5)

    (카이사르, 내란기, 2권 44:5)

  • Licinius Squillus involat iacentemque levibus sauciat plagis. (CAESAR, INCERTI AVCTORIS DE BELLO ALEXANDRINO 52:14)

    (카이사르, 알렉산드리아 전기 52:14)

  • Tune legatos ad urbem misit Licinium et Probum, per colloquium petens ut gener apud socerum, id est Maxentius apud Galerium, precibus magis quam armis optata mercaretur. (Ammianus Marcellinus, Rerum Gestarum libri qui supersunt, Anonymi Valesiani Pars Prior: origo Constantini Imperatoris, chapter 3 3:1)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사건 연대기, , 3장 3:1)

  • Tune Galerius in Illyrico Licinium Caesarem fecit. (Ammianus Marcellinus, Rerum Gestarum libri qui supersunt, Anonymi Valesiani Pars Prior: origo Constantini Imperatoris, chapter 3 4:2)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사건 연대기, , 3장 4:2)

  • Licinius itaque ex Nova Dacia vilioris originis a Galerio factus imperator, velut adversum Maxentium pugnaturus. (Ammianus Marcellinus, Rerum Gestarum libri qui supersunt, Anonymi Valesiani Pars Prior: origo Constantini Imperatoris, chapter 5 1:1)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사건 연대기, , 5장 1:1)

시기별 사용빈도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01%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