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Rabirius

1/2변화 형용사; 고유 씨족명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기본형: Rabirius, Rabiria, Rabirium

  1. 라비리우스 가문 (로마 씨족명)
  1. Rabirius

격변화 정보

1/2변화
남성 여성 중성
단수 단수 단수
주격 Rabirius

라비리우스 가문 (이)가

Rabiria

라비리우스 가문 (이)가

Rabirium

라비리우스 가문 (것)가

속격 Rabiriī

라비리우스 가문 (이)의

Rabiriae

라비리우스 가문 (이)의

Rabiriī

라비리우스 가문 (것)의

여격 Rabiriō

라비리우스 가문 (이)에게

Rabiriae

라비리우스 가문 (이)에게

Rabiriō

라비리우스 가문 (것)에게

대격 Rabirium

라비리우스 가문 (이)를

Rabiriam

라비리우스 가문 (이)를

Rabirium

라비리우스 가문 (것)를

탈격 Rabiriō

라비리우스 가문 (이)로

Rabiriā

라비리우스 가문 (이)로

Rabiriō

라비리우스 가문 (것)로

호격 Rabirī

라비리우스 가문 (이)야

Rabiria

라비리우스 가문 (이)야

Rabirium

라비리우스 가문 (것)야

원급 최상급
형용사 Rabirius

라비리우스 가문 (이)가

Rabiriissimus

가장 라비리우스 가문 (이)가

부사 Rabiriē

Rabiriissimē

제시된 형태 중 음영이 칠해진 것은 실제 코퍼스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규칙에 의해 자동 생성된 것입니다.

예문

  • Quorum lacrimis querelisque Caesar commotus, cum antea constituisset stativis castris aestate inita cunctis copiis auxiliisque accitis bellum cum suis adversariis gerere,… instituit litteris[que] celeriter in Siciliam ad Allienum et Rabirium Postumum conscriptis et per catascopum missis, ut sine mora ac nulla excusatione hiemis ventorumque quam celerrime exercitus sibi transportaretur: (CAESAR, INCERTI AVCTORIS DE BELLO AFRICO 26:3)

    (카이사르, 아프리카 전기 26:3)

  • utiturque ad eam rem testimonio M. Tulli verbaque eius refert ex oratione quae dicta est Pro C. Rabirio: (Aulus Gellius, Attic Nights, Liber Duodecimus, III 2:2)

    (아울루스 겔리우스, 아테네의 밤, , 2:2)

  • quendam uero et quod comes regis in prouincia fuisset, referens, maiorum temporibus Rabirio Postumo Ptolemaeum Alexandriam crediti seruandi causa secuto crimen maiestatis apud iudices motum. (C. Suetonius Tranquillus, De Vita Caesarum, Divus Claudius, chapter 16 2:5)

    (가이우스 수에토니우스 트란퀼루스, 황제전, , 16장 2:5)

  • Astra polumque pia cepisti mente, Rabiri, Parrhasiam mira qui struis arte domum. (Martial, Epigrammata, book 7, LVI 56:1)

    (마르티알리스, 에피그램집, 7권, 56:1)

  • Condidit hac caras tellure Rabirius umbras; (Martial, Epigrammata, book 10, LXXI 71:2)

    (마르티알리스, 에피그램집, 10권, 71:2)

시기별 사용빈도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00%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