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22.06.23 06:22
세개 이상의 음절로 구성된 단어는 끝에서 둘째 모음이 장음이면 끝에서 둘째 모음에 강세가 오고, 끝에서 둘째 모음이 단음이면 끝에서 셋째 모음에 온다고 알고 있는데
교회라틴어에선 원래 장음절인 모음이 강세가 없으면 단모음으로 발음하고 강세가 있으면 장모음으로 발음한다고 알고있습니다
장모음이 단모음이 되면 고전라틴어에선 둘째모음에 악센트가 가는 게 교회에선 같은 단어라도 셋째 모음 악센트가 가는 경우가 있나요?
둘째모음에 강세가 없을경우 단모음이 되니까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619 | 시편 23장 6절 나를, 주의 집에 [탈자] [1] (2022.10.06) | amicus | 2022.10.06 | 24 |
1618 | 번역이 맞을까요? [2] (2022.10.06) | 안녕하세요 | 2022.10.06 | 33 |
1617 | 옳은 문장인지 [4] (2022.10.05) | ㅇㅇ | 2022.10.05 | 36 |
1616 | 번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2022.10.02) | CKCKCK | 2022.10.02 | 31 |
1615 | 마태복음 7장 17-19: 열매 fructus(남성단수/복수 주격('열매(들)는'); 복수대격('열매들을')) [1] (2022.10.01) | amicus | 2022.10.01 | 23 |
1614 | 의견-라틴어 성경 마태복음 7장 16절 : 무화과를(대격) ficus 또는 ficos(수정의견) [1] (2022.10.01) | amicus | 2022.10.01 | 15 |
1613 | 번역 질문드립니다. [1] (2022.09.27) | ㅇㅇ | 2022.09.27 | 49 |
1612 | 질문 [4] (2022.09.17) | 히카루 | 2022.09.17 | 48 |
1611 | 명사 변화(곡용) 페이지 오류? [1] (2022.09.12) | dmann | 2022.09.12 | 25 |
1610 | 누군가는 그것을 떠맡아야 한다. [2] (2022.09.10) | 안녕하세요 | 2022.09.10 | 27 |
1609 | 비발디 세상에 참 평화 없어라 가사 중 질문 드립니다! [2] (2022.09.08) | pax | 2022.09.08 | 45 |
1608 | 라틴어 작문 부탁드립니다. [2] (2022.09.07) | 안녕하세요 | 2022.09.07 | 34 |
1607 | 라틴어 짧은 작문 [1] (2022.09.05) | 이건희 | 2022.09.05 | 36 |
1606 | '태양의'라는 단어를 라틴어로 바꿀때 Solis? 아니면 Solaris? [1] (2022.09.02) | ㅇ | 2022.09.02 | 45 |
1605 | '헌장'이라는 단어를 라틴어로 번역할 수 있을까요? [1] (2022.09.02) | ㅇ | 2022.09.02 | 24 |
1604 | quam 최상급은 and의 뜻도 가지나요? [2] (2022.08.30) | 평리동 | 2022.08.30 | 24 |
1603 | 대주교 라틴어 arch archi 차이 [2] (2022.08.28) | ㅇㅇ | 2022.08.28 | 39 |
1602 | 집회서 14장 18 ,19절부터 [1] (2022.08.12) | yoon | 2022.08.12 | 15 |
1601 | 라틴어 작문 부탁드립니다. 도와주세요 [1] (2022.08.10) | 라틴어로 | 2022.08.10 | 39 |
1600 | 라틴어 문구 질문드립니다. [1] (2022.08.09) | 바다 | 2022.08.09 | 25 |
안녕하세요 학생님~
그렇지 않습니다. 간략하게 변천사를 설명해드리자면, 고전 라틴어에서는 모음의 장단이 구분되었고, 장단에 의해 자동으로 강세의 위치가 정해졌습니다. 따라서 고전 라틴어에서는 모음의 장단을 알면 강세 위치를 자동으로 알 수 있었고, 그 반대로 강세를 알면 모음의 장단을 유추할 수 있었죠.
그러나 중세로 넘어가면서 라틴어 모음의 장단 구분이 소실되어갑니다. (현대 한국어에서 장단모음을 잘 구분하지 않게 된것처럼요.) 그래서 예전에는 장단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알 수 있던 단어의 강세가 서서히 단어 각각 고유의 특징이 됩니다. 즉 어떤 단어는 강세가 끝에서 두번째 모음에 있고, 어떤 단어는 끝에서 세번째 모음에 있더라~ 는 식으로 암기하는 문제가 되어버린거죠. 그렇게 단어 강세의 위치는 고전 라틴어의 잔재로 남아 단어별로 전해지고, 모음의 장단을 구분하지 않는 상황에서 강세가 있는 모음을 강하게 발음하다 보니 무의식적으로 강세를 받는 모음이 그렇지 않은 모음보다 길게 발음되는 상황이 발생한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회 라틴어에서 모음의 장단은 강세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애초에 모음의 장단이 변별되는 자질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게 정확하겠죠.
정리하자면
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