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Cestiō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형태정보

  • (Cestius의 남성 단수 여격형) 케스티우스 가문 (이)에게

    형태분석: Cesti(어간) + ō(어미)

  • (Cestius의 남성 단수 탈격형) 케스티우스 가문 (이)로

    형태분석: Cesti(어간) + ō(어미)

  • (Cestius의 중성 단수 여격형) 케스티우스 가문 (것)에게

    형태분석: Cesti(어간) + ō(어미)

  • (Cestius의 중성 단수 탈격형) 케스티우스 가문 (것)로

    형태분석: Cesti(어간) + ō(어미)

Cestius

1/2변화 형용사; 고유 씨족명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기본형: Cestius, Cestia, Cestium

  1. 케스티우스 가문 (로마 씨족명)
  1. Cestius

격변화 정보

1/2변화
남성 여성 중성
단수 단수 단수
주격 Cestius

케스티우스 가문 (이)가

Cestia

케스티우스 가문 (이)가

Cestium

케스티우스 가문 (것)가

속격 Cestiī

케스티우스 가문 (이)의

Cestiae

케스티우스 가문 (이)의

Cestiī

케스티우스 가문 (것)의

여격 Cestiō

케스티우스 가문 (이)에게

Cestiae

케스티우스 가문 (이)에게

Cestiō

케스티우스 가문 (것)에게

대격 Cestium

케스티우스 가문 (이)를

Cestiam

케스티우스 가문 (이)를

Cestium

케스티우스 가문 (것)를

탈격 Cestiō

케스티우스 가문 (이)로

Cestiā

케스티우스 가문 (이)로

Cestiō

케스티우스 가문 (것)로

호격 Cestī

케스티우스 가문 (이)야

Cestia

케스티우스 가문 (이)야

Cestium

케스티우스 가문 (것)야

원급 최상급
형용사 Cestius

케스티우스 가문 (이)가

Cestiissimus

가장 케스티우스 가문 (이)가

부사 Cestiē

Cestiissimē

제시된 형태 중 음영이 칠해진 것은 실제 코퍼스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규칙에 의해 자동 생성된 것입니다.

예문

  • Syriaeque executio Cestio, copiae militares Corbuloni permissae; (Cornelius Tacitus, Annales, LIBER XV, chapter 25 25:6)

    (코르넬리우스 타키투스, 연대기, , 25장 25:6)

  • Cestio Gall[i]o, libidinoso ac prodigo seni, olim ab Augusto ignominia notato et a se ante paucos dies apud senatum increpito cenam ea lege condixit, ne quid ex consuetudine immutaret aut demeret, utque nudis puellis ministrantibus cenaretur. (C. Suetonius Tranquillus, De Vita Caesarum, Tiberius, chapter 42 2:1)

    (가이우스 수에토니우스 트란퀼루스, 황제전, , 42장 2:1)

  • Deinde libuit Ciceroni de Cestio in foro satisfacere. (Seneca, Excerpta Controversiae, book 3, chaper pr 17:2)

    (세네카, , , 17:2)

  • C. Cestio M. Servilio consulibus nobiles Parthi in urbem venere, ignaro rege Artabano. (Cornelius Tacitus, Annales, book 6, chapter 31 31:1)

    (코르넬리우스 타키투스, 연대기, 6권, 31장 31:1)

  • Aiebat CESTIVS hoc genus suasoriarum aliter declamandum esse quam suadendum. (Seneca, Suasoriae, chapter 1 5:2)

    (세네카, , 5:2)

시기별 사용빈도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00%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