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19.05.22 23:01
1. Agricola equum et taurum robustum amat ; sunt enim auxilium laborum.
; 뒤에 부분의 문법적 설명이 궁금합니다. 문맥상 말과 소는 왜냐하면 일하는데 도움이 된다. 인 것 같은데
그냥 "그들은 일의 도움 이다." 라고 해석하면 좀 어색해서요 이게 맞는 건가요?
2. Mare Sinicum etiam mare Flavum nominatur.
이 문장을 "중국의 바다는 황해라고도 불린다." 라고 해석해봤는데요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ㅠㅜ
nominatur 라는 동사에 같은 격 명사 두가지가 쓰이면 ㅇㅇ가 ㅁㅁ라고 불린다. 라고 해석하는 것까지는 알고있는데요
일단 또한이라는 etiam 이 왜 붙는지도 모르겠고 Sinicum 과 Flavum이 대문자로 쓰여서 황해를 말하는거 같기는 한데 그럼 중국의 바다는 뭔지모르겠어요. etiam이 앞을 수식하는지 뒤를 수식하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음은 한국어->라틴어 번역 질문입니다.
하느님께서는 하늘과 땅과 사람과 동물들을 만드셨다. 라는 문장을 -que 를 사용해서 해야하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예시 문장 중에
Populus Romanus terra(abl.) marique victor erat. 이 있어서
Deus creavit caelum terram homonem animalique 라고 해봤는데요 아무리봐도 아닌 것 같아서요
쉼표도 없이 나열하는 것도 그렇고 que를 각 단어마다 써야되는 건가, 마지막에만 써야하는건가 첫 단어에만 안쓰는 건가
제가 보는 책에 설명이 너무 부족하네요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922 | 둘의 차이가 뭔가요? [1] (2019.06.09) | 궁금해요 | 2019.06.09 | 31 |
921 | 번역해주신 것을 보았는데 [1] (2019.06.08) | ㅇㅇ | 2019.06.08 | 137 |
920 | 라틴어 번역 도와주세요ㅠ [1] (2019.06.08) | 야옹 | 2019.06.08 | 192 |
919 | 휠록 라틴어7판, 연습문제 문의드립니다. [2] (2019.06.08) | 연남동 | 2019.06.08 | 93 |
918 | 철학용어 두가지 좀 여쭤볼게요 [1] (2019.06.06) | 데코롬 | 2019.06.06 | 61 |
917 | 아르키메데스가 한 Dos pou sto [1] (2019.06.06) | 제발 | 2019.06.06 | 57 |
916 | 라틴어 번역부탁드립니다. [1] (2019.06.06) | Dadadac | 2019.06.06 | 125 |
915 | 번역부탁드립니다ㅠㅠ [1] (2019.06.05) | Whdgua12 | 2019.06.05 | 293 |
914 | 라틴어 번역 부탁드립니다 ㅠㅠ [1] (2019.06.04) | 뮹뮹 | 2019.06.04 | 88 |
913 | 번역부탁드려요ㅠㅠㅠㅠ [1] (2019.06.04) | 숭슈 | 2019.06.04 | 49 |
912 | 라틴어 번역 부탁 드릴 수 있을까요? [1] (2019.06.04) | djback | 2019.06.04 | 52 |
911 | 라틴어 해석좀 부탁 드려요 [1] (2019.06.03) | 푸링 | 2019.06.03 | 71 |
910 | OLC1 9과 EXERCISE 작문 질문이요! [1] (2019.06.02) | 온유 | 2019.06.02 | 55 |
909 | 라틴어 해석부탁드려요 [1] (2019.06.02) | 송이 | 2019.06.02 | 56 |
908 | OLC 1 질문이요! [1] (2019.05.30) | 히히히 | 2019.05.30 | 49 |
907 | 질문이요!!!! [1] (2019.05.29) | 다비치 | 2019.05.29 | 39 |
906 | 해석 질문이요!! [1] (2019.05.29) | 가나다라 | 2019.05.29 | 31 |
905 | 여름의 라벤더는 어떻게 쓰나요? [1] (2019.05.29) | ㅎ하하하 | 2019.05.29 | 92 |
904 | 하느님의 이름 번역 [1] (2019.05.29) | 때뿌뉘 | 2019.05.29 | 111 |
903 | 번역답변 감사합니다! 하나만 더 부탁드리겠습니다ㅠ [2] (2019.05.28) | 야옹 | 2019.05.28 | 36 |
1. 직역을 하자면 '일의 도움'이 맞습니다만 전자처럼 풀어 해석하시는 것도 가능할 듯합니다.
https://latina.bab2min.pe.kr/xe/SearchCorpus?pid=auxilium&q=auxilium&fd=2
auxilium이 포함된 예문들을 살펴보시면
ad auxilium tuum: 네 도움을 향해 -> 너를 도우러
scutum auxilii tui: 네 도움의 방패 -> 너를 돕는 방패
ad auxilium Domini: 주님의 도움을 향해 -> 주님을 도우러
처럼 여러 사례에서 'A의 도움'이라는 표현을 'A를 돕는'이라는 의미로 쓰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주어는 '중국의 바다'이구요, etiam은 술부 전체를 수식한다고 보시면 될듯합니다. A가 B라고도 불린다, 즉 A에게 B라는 또 다른 이름이 있다는 뜻이기 때문에 이 전체를 강조하기 위해 etiam이 있는 거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중국의 바다는 '중국해'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해외에서 동해가 일본해라고 불리는 것처럼 황해도 중국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는듯 합니다.)
3. 원칙상 -que는 첫 단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에 붙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라틴어에서는 접속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꽤 잦기 때문에 et, -que 등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1) 첫 단어 이외에 -que를 다 붙여도 되고, 2) 마지막 단어에만 -que를 붙여도 되고, 3) 더 나아가 아예 -que를 붙이지 않고 쉼표로 연결하여 문맥으로 접속사를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영어에서처럼 쉼표로 연결하고 마지막 단어에만 -que를 붙이는걸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