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식어

조회 수 426 추천 수 0 2020.09.28 01:17:58
↑ 상위 문서: 고전 라틴어
수식어(Attributive)는 명사에 붙어 명사의 의미를 수식하거나 한정해주는 역할을 하는 단어를 가리킵니다. 명사를 수식해주는 역할은 형용사가 수행하는 걸로 흔히 알려져 있으나, 사실 형용사 이외에도 명사나 동사 등이 특정한 문법적 형태를 취해 명사를 수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명사를 수식하는 다양한 수식어구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1]

명사적 수식어

어떤 명사가 다른 명사를 수식하는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 동격 어구: 수식하는 명사가 수식 받는 명사와 같은 격을 취함
  • 속격 어구: 수식하는 명사가 속격을 취함
  • 전치사 어구: 수식하는 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로 들어가고, 전치사구가 명사를 수식함

동격 어구

동격 어구를 구성할 때 수식하는 명사는 수식 받는 명사와 항상 같은 격을 취해야 합니다. 즉, 수식 받는 명사가 주격이면 동격 어구도 주격, 대격이면 동격 어구도 대격이 되는 식입니다.

Cicero consul : Cicero라는 집정관, (또는 집정관 Cicero, Cicero 집정관)

위 예시에서 consul은 Cicero를 수식하기 위해서 Cicero와 동일하게 주격으로 Cicero 바로 뒤에 나타났습니다. 한국어로 옮길때는 ~라는 과 같은 표현을 덧붙여 부드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속격 어구

격의 용법 중 속격 부분을 참고할 것

전치사 어구

속격만으로는 원하는 의미로 명사를 수식할 수 없을 때 명사를 종종 전치사의 도움을 받아 다른 명사를 수식하기도 합니다. 원칙적으로 전치사구는 명사가 아닌 동사나 문장의 다른 성분을 수식하기 위해 쓰이지만, 이와 같이 명사를 수식하고자 쓰이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는 전치사구가 동사나 형용사 등과 함께 있는 구조에서 동사/형용사 등이 생략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liber de amicitia : 우정에 관한

domus in urbe : 도시에 있는 집 (domus in urbe est. 집은 도시에 있다.)

형용사적 수식어

형용사는 그 자체가 명사를 수식하기 위해 존재하는 품사이기 때문에 명사의 수식어로 사용되는건 자명한 일입니다. 대명사와 수사 역시 형용사에 비해 덜 자명하지만 명사를 수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단락에서 형용사 수식어와 함께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와 성/수/격을 일치시켜야 합니다. 이 규칙에 대해서는 일치 문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또 라틴어에서 고유명사는 직접 형용사로부터 수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 대신 동격어구로 일반명사를 첨가한 뒤, 형용사가 일반명사를 꾸미게 하는 구조로 수식하는게 원칙입니다. [2] 특히 이 경우 수식하는 고유명사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형용사를 최상급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3]

Cicero vir facundissimus : 아주 유창한 키케로(=아주 유창한 남자인 키케로)

반면 대명사는 고유명사를 직접적으로 수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 문장들은 문법에 맞습니다.

ipse Hannibal : 한니발 자신이

동사적 수식어

동사는 그 자체로 다른 명사를 수식하는 데 쓰일 수 없지만, 동사의 변화형태인 분사나 동명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분사의 경우 동사의 형용사 형태라고 볼 수 있고, 명사를 수식하는 규칙 역시 형용사와 동일합니다. 분사가 명사를 수식할때는 명사는 해당 동사의 의미적인 주어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puer ludens : 놀고 있는 아이 (puer ludo. 아이는 놀고 있다.)

puella amata : 사랑 받은 여자 아이 (puella amata est. 여자 아이는 사랑받았다.)

동명사는 동사의 명사 형태라고 볼 수 있으나, 명사와 같이 동격 어구로써 다른 명사를 수식할 수는 없습니다. 대신 속격의 형태로 쓰여 다른 명사를 수식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동명사와 동형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1] 허창덕, 1962, 『라틴어 문장론』, 가톨릭대학교출판부, 80쪽
  • [2] Ashdowne, R., & Morwood, J. (2007). Writing Latin. Bristol Classical Pr. p.124
  • [3] 허창덕, 1962, 『라틴어 문장론』, 가톨릭대학교출판부, 98쪽
공헌자 :
bab2min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