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montōsior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형태정보

  • (montōsus의 비교급 남성 단수 주격형) 더 산악성의 (이)가

    형태분석: montōs(어간) + ior(급 접사)

  • (montōsus의 비교급 남성 단수 호격형) 더 산악성의 (이)야

    형태분석: montōs(어간) + ior(급 접사)

montōsus

1/2변화 형용사; 자동번역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기본형: montōsus, montōsa, montōsum

어원: mōns(산, 산악)

  1. 산악성의, 산이 많은
  1. mountainous, full of mountains

격변화 정보

1/2변화
남/여성 중성
단수 복수 단수 복수
주격 montōsior

더 산악성의 (이)가

montōsiōrēs

더 산악성의 (이)들이

montōsius

더 산악성의 (것)가

montōsiōra

더 산악성의 (것)들이

속격 montōsiōris

더 산악성의 (이)의

montōsiōrum

더 산악성의 (이)들의

montōsiōris

더 산악성의 (것)의

montōsiōrum

더 산악성의 (것)들의

여격 montōsiōrī

더 산악성의 (이)에게

montōsiōribus

더 산악성의 (이)들에게

montōsiōrī

더 산악성의 (것)에게

montōsiōribus

더 산악성의 (것)들에게

대격 montōsiōrem

더 산악성의 (이)를

montōsiōrēs

더 산악성의 (이)들을

montōsius

더 산악성의 (것)를

montōsiōra

더 산악성의 (것)들을

탈격 montōsiōre

더 산악성의 (이)로

montōsiōribus

더 산악성의 (이)들로

montōsiōre

더 산악성의 (것)로

montōsiōribus

더 산악성의 (것)들로

호격 montōsior

더 산악성의 (이)야

montōsiōrēs

더 산악성의 (이)들아

montōsius

더 산악성의 (것)야

montōsiōra

더 산악성의 (것)들아

원급 비교급 최상급
형용사 montōsus

산악성의 (이)가

montōsior

더 산악성의 (이)가

montōsissimus

가장 산악성의 (이)가

부사 montōsē

montōsius

montōsissimē

제시된 형태 중 음영이 칠해진 것은 실제 코퍼스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규칙에 의해 자동 생성된 것입니다.

예문

  • silvestris et montosus exiguas; (Columella, Lucius Junius Moderatus, Res Rustica, book 7, chapter 2 3:3)

    (콜루멜라, 루키우스 유니우스 모데라투스, 농업론, 7권, 2장 3:3)

  • montosae nersae civitas in montibus posita. (Maurus Servius Honoratus, Commentary on the Aeneid of Vergil, SERVII GRAMMATICI IN VERGILII AENEIDOS LIBRVM SEPTIMVM COMMENTARIVS., commline 744 473:1)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 , , 473:1)

  • Et te montosae misere in proelia Nersae, Ufens, insignem fama et felicibus armis; (P. Vergilius Maro, Aeneid, Book 7 35:1)

    (푸블리우스 베르길리우스 마로, 아이네아스, Book 7권 35:1)

  • Fraxinus, quia capris et ovibus gratissima est, nec inutilis bubus, locis asperis et montosis, quibus minus laetatur ulmus, recte seritur. (Columella, Lucius Junius Moderatus, Res Rustica, book 5, chapter 6 5:2)

    (콜루멜라, 루키우스 유니우스 모데라투스, 농업론, 5권, 6장 5:2)

  • huic parere dati, quos fertilis Amphigenia planaque Messene montosaque nutrit Ithome, quos Thryon et summis ingestum montibus Aepy, quos Helos et Pteleon, Getico quos flebile vati Dorion; (Statius, P. Papinius, Thebais, book 4 4:73)

    (스타티우스, 푸블리우스 파피니우스, , 4권 4:73)

유의어

  1. 산악성의

시기별 사용빈도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