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표시 사용
2019.05.26 16:47
fabula docet 라는 라틴어 책을 공부중입니다. 니오베에 관한 이야기 중 잘 번역이 안되는 곳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_ _ _
Et regia Phrygia est sub me domina 라고 되어 있는데
왕궁과 프리기아나 주인인 내 아래에 있다.
라고 해석하는게 맞는 건가요? sub me domina를 잘 해석 못하겠습니다 ㅠㅠ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905 | 여름의 라벤더는 어떻게 쓰나요? [1] (2019.05.29) | ㅎ하하하 | 2019.05.29 | 185 |
904 | 하느님의 이름 번역 [1] (2019.05.29) | 때뿌뉘 | 2019.05.29 | 203 |
903 | 번역답변 감사합니다! 하나만 더 부탁드리겠습니다ㅠ [2] (2019.05.28) | 야옹 | 2019.05.28 | 141 |
902 | 아주 간단한 번역 부탁드릴게요! [1] (2019.05.28) | 라틴어 | 2019.05.28 | 205 |
901 | 간단한 문장 라틴어로 부탁드려요 [2] (2019.05.28) | 냐냐 | 2019.05.28 | 240 |
900 | 한국어인데 라틴어로 번역 부탁드립니다ㅜㅜㅜ [1] (2019.05.27) | 프시알 | 2019.05.27 | 183 |
» | fabula docet 번역 [1] (2019.05.26) | ㅇㅈㅇ | 2019.05.26 | 248 |
898 | 휠록 라틴어 7판, 3과 자습문제 문의드립니다. [1] (2019.05.26) | 연남동 | 2019.05.26 | 190 |
897 | 라틴어 초급 사전이 있습니까? [1] (2019.05.25) | 연남동 | 2019.05.25 | 170 |
896 | 지난번에 성경구절 문의 드렸던 학생입니다^^ [1] (2019.05.24) | 요로미 | 2019.05.24 | 503 |
895 | 라틴어 문장 해석 질문드립니다. [1] (2019.05.22) | ㄱㅂㅎ | 2019.05.22 | 172 |
894 | 라틴어 번역 여쭙니다 [4] (2019.05.22) | 야옹 | 2019.05.22 | 174 |
893 | 번역좀 도와주세요!ㅠ [2] (2019.05.21) | 도와주세요ㅠ | 2019.05.21 | 198 |
892 | 라틴어로 번역부탁드려요 [1] (2019.05.21) | SU | 2019.05.21 | 165 |
891 | 라틴어로 타투하고 싶은데 이 문장 번역 좀 부탁드려요ㅠㅠ [2] (2019.05.19) | 라틴어타투 | 2019.05.19 | 242 |
890 | 좋은 문구 부탁드려요 [1] (2019.05.19) | 궁금해요 | 2019.05.19 | 335 |
889 | 도움 부탁드립니다. [1] (2019.05.17) | ㅅㄴㄴ | 2019.05.17 | 144 |
888 | 라틴어->한국어 번역 해주실 수 있나요? [1] (2019.05.16) | 번역질문 | 2019.05.16 | 806 |
887 | oxford 라틴어1권 의 분석이 잘못되어있습니다 [1] (2019.05.16) | ㅇ | 2019.05.16 | 147 |
886 | 라틴어 단어 질문 드립니다. [1] (2019.05.15) | ㄱㅂㅎ | 2019.05.15 | 160 |
전치사 sub는 탈격을 받습니다. 따라서 me는 sub에 걸리는게 확실하구요, 뒤의 domina는 주격이나 탈격, 혹은 호격이 될 수 있습니다.
호격의 경우 대게 ,로 분리하거나 ō 등을 붙여서 맥락상 호격임을 드러내는게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호격은 아니지요. 따라서 주격인 경우와 탈격인 경우 두 가지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주격으로 볼 경우 앞에 있는 regia Phrygia와 동격이 됩니다.
* 프리기아 왕궁인 여주인은 내 아래에 있다. (* 어색)
2) 탈격으로 볼 경우 me와 동격이 됩니다.
* 프리기아 왕궁은 여주인인 내 아래에 있다. (적절)
따라서 뒤의 domina는 바로 앞의 me를 부연설명하는 동격 어구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 그리고 문장 앞의 et은 regia와 Phrygia를 연결하는 게 아니라 앞문장과 현재 문장을 이어주는 것으로 해석하는게 더 자연스럽습니다.
* 그리고 프리기아 왕궁은 (그 왕궁의) 여주인인 내 아래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