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lagēnās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형태정보

  • (lagēna의 복수 대격형) 큰 토기들을

    형태분석: lagēn(어간) + ās(어미)

lagēna

1변화 명사; 여성 상위10000위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기본형: lagēna, lagēnae

  1. 큰 토기
  2. 플라스크, 큰 병
  1. large earthenware vessel
  2. flask, flagon

격변화 정보

1변화
단수 복수
주격 lagēna

큰 토기가

lagēnae

큰 토기들이

속격 lagēnae

큰 토기의

lagēnārum

큰 토기들의

여격 lagēnae

큰 토기에게

lagēnīs

큰 토기들에게

대격 lagēnam

큰 토기를

lagēnās

큰 토기들을

탈격 lagēnā

큰 토기로

lagēnīs

큰 토기들로

호격 lagēna

큰 토기야

lagēnae

큰 토기들아

예문

  • quid fuistis? Cum accederetis ad acervum viginti modiorum, erant decem; cum intraretis ad torcular, ut hauriretis quinquaginta lagenas, erant viginti. (Biblia Sacra Vulgata, Prophetia Aggaei, 2 2:16)

    (불가타 성경, 하까이서, 2장 2:16)

  • Cur Phebus sitiens estuque caloris hanelus, Haurit ab Oceano potus, sua pocula uertit In nubes, crasso suspendit in aere nimbi Vasa, cyphos ymbris uarii pluuieque lagenas; (ALANUS DE INSULIS, ANTICLAUDIANUS, LIBER QUARTUS 16:17)

    (, , 16:17)

  • Divisitque trecentos viros in tres partes et dedit tubas in manibus eorum lagoenasque vacuas ac lampades in medio lagoenarum (Biblia Sacra Vulgata, Liber Iudicum, 7 7:16)

    기드온은 삼백 명을 세 부대로 나누고 나서, 각 사람 손에 나팔과 빈 단지를 들려 주었다. 단지 속에는 횃불이 들어 있었다. (불가타 성경, 판관기, 7장 7:16)

  • Ingressusque est Gedeon et trecenti viri, qui erant cum eo, extremam partem castrorum, incipientibus vigiliis noctis mediae, cum eo ipso tempore custodes mutati essent, et coeperunt bucinis clangere et conterere lagoenas. (Biblia Sacra Vulgata, Liber Iudicum, 7 7:19)

    기드온과 그가 거느린 백 명이 진영 끝에 다다른 것은, 중간 야경이 시작될 때, 보초들이 막 교대하고 나서였다. 그들은 나팔을 불며 손에 든 단지를 깨뜨렸다. (불가타 성경, 판관기, 7장 7:19)

  • et comminuetur, sicut conteritur lagoena figuli, contritione absque misericordia, et non invenietur de fragmentis eius testa, in qua capiatur igniculus de incendio, aut hauriatur aqua de fovea ". (Biblia Sacra Vulgata, Liber Isaiae, 30 30:14)

    그것은 옹기그릇이 부서지면서 산산조각으로 깨져 그 깨진 것들 가운데에서는 아궁이에서 불을 담아 내거나 웅덩이에서 물을 퍼낼 조각 하나 찾지 못하는 것과 같으리라.” (불가타 성경, 이사야서, 30장 30:14)

유의어

  1. 큰 토기

  2. 플라스크

관련어

이형태

시기별 사용빈도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03%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