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malum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형태정보

  • (malum의 단수 주격형) 악이

    형태분석: mal(어간) + um(어미)

  • (malum의 단수 대격형) 악을

    형태분석: mal(어간) + um(어미)

  • (malum의 단수 호격형) 악아

    형태분석: mal(어간) + um(어미)

malum

2변화 명사; 중성 상위1000위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기본형: malum, malī

어원: 1 malus

  1. 악, 불행, 재난
  2. 손해, 상해, 상처
  1. an evil, misfortune, calamity
  2. harm, injury

격변화 정보

2변화
단수 복수
주격 malum

악이

mala

악들이

속격 malī

악의

malōrum

악들의

여격 malō

악에게

malīs

악들에게

대격 malum

악을

mala

악들을

탈격 malō

악으로

malīs

악들로

호격 malum

악아

mala

악들아

예문

  • Considera quod hodie proposuerim in conspectu tuo vitam et bonum, et e contrario mortem et malum. (Biblia Sacra Vulgata, Liber Deuteronomii, 30 30:15)

    “보아라, 내가 오늘 너희 앞에 생명과 행복, 죽음과 불행을 내놓는다. (불가타 성경, 신명기, 30장 30:15)

  • Addiderunt autem filii Israel facere malum in conspectu Domini, qui confortavit adversum eos Eglon regem Moab, quia fecerunt malum in conspectu Domini. (Biblia Sacra Vulgata, Liber Iudicum, 3 3:12)

    이스라엘 자손들이 다시 주님의 눈에 거슬리는 악한 짓을 저질렀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모압 임금 에글론을 이스라엘보다 우세하게 하셨다. 그들이 주님의 눈에 거슬리는 악한 짓을 저질렀기 때문이다. (불가타 성경, 판관기, 3장 3:12)

  • " Propheta namque et sacerdos polluti sunt, et in domo mea inveni malum eorum, ait Dominus. (Biblia Sacra Vulgata, Liber Ieremiae, 23 23:11)

    예언자도 사제도 불경스럽고 내 집에서조차 그들의 죄악이 보인다. 주님의 말씀이다. (불가타 성경, 예레미야서, 23장 23:11)

  • si vespertinus subito te oppresserit hospes,ne gallina malum responset dura palato,doctus eris vivam musto mersare Falerno: (SERMONVM Q. HORATI FLACCI, SECVNDVS, 04 4:13)

    (호라티우스의 풍자, 2권, 04장 4:13)

  • Et irascetur furor meus contra eum in die illo, et derelinquam eos et abscondam faciem meam ab eis, et erit in devorationem; invenient eum mala multa et afflictiones, ita ut dicat in illo die: "Vere, quia non est Deus mecum, invenerunt me haec mala". (Biblia Sacra Vulgata, Liber Deuteronomii, 31 31:17)

    그날에 그들을 거슬러 나의 분노가 타올라서, 나는 그들을 저버리고, 그들에게서 나의 얼굴을 감추어 버릴 것이다. 그러면 그들은 남의 먹이가 되고 많은 재앙과 고난이 그들을 덮칠 것이다. 그날에 그들은, ‘하느님께서 우리 가운데에 계시지 않기 때문에 이 재앙들이 우리를 덮친 것이 아닌가?’ 하고 말할 것이다. (불가타 성경, 신명기, 31장 31:17)

유의어

  1. 손해

관련어

시기별 사용빈도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167%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