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capreae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형태정보

  • (caprea의 단수 속격형) 노루의

    형태분석: capre(어간) + ae(어미)

  • (caprea의 단수 여격형) 노루에게

    형태분석: capre(어간) + ae(어미)

  • (caprea의 복수 주격형) 노루들이

    형태분석: capre(어간) + ae(어미)

  • (caprea의 복수 호격형) 노루들아

    형태분석: capre(어간) + ae(어미)

caprea

1변화 명사; 여성 동물 상위10000위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기본형: caprea, capreae

어원: capra(암염소, 암내)

  1. 노루
  2. 야생 암염소
  1. a roe deer
  2. a wild female goat

격변화 정보

1변화
단수 복수
주격 caprea

노루가

capreae

노루들이

속격 capreae

노루의

capreārum

노루들의

여격 capreae

노루에게

capreīs

노루들에게

대격 capream

노루를

capreās

노루들을

탈격 capreā

노루로

capreīs

노루들로

호격 caprea

노루야

capreae

노루들아

예문

  • Sed et de Gad transfugerunt ad David, cum lateret in deserto, viri robustissimi et pugnatores optimi tenentes clipeum et hastam; facies eorum quasi facies leonis et veloces quasi capreae in montibus: (Biblia Sacra Vulgata, Liber I Paralipomenon, 12 12:9)

    가드인들 가운데에서도 광야의 요새에 있는 다윗에게 넘어간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힘센 용사들이며 방패와 창을 잘 다루는, 싸움에 능한 군인이었다. 그들은 얼굴이 사자와 같고 빠르기는 산 위의 영양 같았다. (불가타 성경, 역대기 상권, 12장 12:9)

  • Similis est dilectus meus capreae hinnuloque cervorum. En ipse stat post parietem nostrum respiciens per fenestras, prospiciens per cancellos. (Biblia Sacra Vulgata, Canticum Canticorum, 2 2:9)

    나의 연인은 노루나 젊은 사슴 같답니다. 보셔요, 그이가 우리 집 담장 앞에 서서 창틈으로 기웃거리고 창살 틈으로 들여다본답니다. (불가타 성경, 아가, 2장 2:9)

  • antequam aspiret dies, et festinent umbrae. Revertere; similis esto, dilecte mi, capreae hinnuloque cervorum super montes Bether. (Biblia Sacra Vulgata, Canticum Canticorum, 2 2:17)

    날이 서늘해지고 그림자들이 달아나기 전에 나의 연인이여 베텔 산 위의 노루처럼, 젊은 사슴처럼 어서 돌아오셔요. (불가타 성경, 아가, 2장 2:17)

  • Duo ubera tua sicut duo hinnuli, capreae gemelli, qui pascuntur in liliis. (Biblia Sacra Vulgata, Canticum Canticorum, 4 4:5)

    그대의 두 젖가슴은 나리꽃 사이에서 풀을 뜯는 한 쌍의 젊은 사슴, 쌍둥이 노루 같다오. (불가타 성경, 아가, 4장 4:5)

  • Duo ubera tua sicut duo hinnuli, gemelli capreae, (Biblia Sacra Vulgata, Canticum Canticorum, 7 7:4)

    그대의 두 젖가슴은 한 쌍의 젊은 사슴, 쌍둥이 노루 같다오. (불가타 성경, 아가, 7장 7:4)

유의어

  1. 노루

  2. 야생 암염소

    • oryx (야생 염소)

관련어

시기별 사용빈도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16%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