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발음: []교회 발음: []
형태정보
기본형: opīmus, opīma, opīmum
남성 | 여성 | 중성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opīmus 뚱뚱한 (이)가 | opīmī 뚱뚱한 (이)들이 | opīma 뚱뚱한 (이)가 | opīmae 뚱뚱한 (이)들이 | opīmum 뚱뚱한 (것)가 | opīma 뚱뚱한 (것)들이 |
속격 | opīmī 뚱뚱한 (이)의 | opīmōrum 뚱뚱한 (이)들의 | opīmae 뚱뚱한 (이)의 | opīmārum 뚱뚱한 (이)들의 | opīmī 뚱뚱한 (것)의 | opīmōrum 뚱뚱한 (것)들의 |
여격 | opīmō 뚱뚱한 (이)에게 | opīmīs 뚱뚱한 (이)들에게 | opīmae 뚱뚱한 (이)에게 | opīmīs 뚱뚱한 (이)들에게 | opīmō 뚱뚱한 (것)에게 | opīmīs 뚱뚱한 (것)들에게 |
대격 | opīmum 뚱뚱한 (이)를 | opīmōs 뚱뚱한 (이)들을 | opīmam 뚱뚱한 (이)를 | opīmās 뚱뚱한 (이)들을 | opīmum 뚱뚱한 (것)를 | opīma 뚱뚱한 (것)들을 |
탈격 | opīmō 뚱뚱한 (이)로 | opīmīs 뚱뚱한 (이)들로 | opīmā 뚱뚱한 (이)로 | opīmīs 뚱뚱한 (이)들로 | opīmō 뚱뚱한 (것)로 | opīmīs 뚱뚱한 (것)들로 |
호격 | opīme 뚱뚱한 (이)야 | opīmī 뚱뚱한 (이)들아 | opīma 뚱뚱한 (이)야 | opīmae 뚱뚱한 (이)들아 | opīmum 뚱뚱한 (것)야 | opīma 뚱뚱한 (것)들아 |
제시된 형태 중 음영이 칠해진 것은 실제 코퍼스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규칙에 의해 자동 생성된 것입니다.
et Bassianus, praeclaro genere natus, notarius militans inter primos, quas praenoscere altiora conatus, licet ipse de qualitate partus uxoris consuluisse firmaret, ambitioso necessitudinum studio, quibus tegebatur, morte ereptus, patrimonio opimo exutus est. (Ammianus Marcellinus, Rerum Gestarum libri qui supersunt, Liber XXIX, chapter 2 5:1)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사건 연대기, , 2장 5:1)
si pingui et opimo, longiorem patitur 9 custodiam. (Columella, Lucius Junius Moderatus, Res Rustica, book 7, chapter 8 1:3)
(콜루멜라, 루키우스 유니우스 모데라투스, 농업론, 7권, 8장 1:3)
tu vero quid habes, quare putes, si paulo ante cor fuerit in tauro opimo, subito id in ipsa immolatione interisse? (M. Tullius Cicero, De Divinatione (ed. C. F. W. Müller), De Divinatione (ed. William Armistead Falconer), Liber Secundus 53:3)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 , 53:3)
tu vero quid habes, quare putes, si paulo ante cor fuerit in tauro opimo, subito id in ipsa immolatione interisse? (M. Tullius Cicero, De Divinatione (ed. C. F. W. Müller), M. TULLII CICERONIS DE DIVINATIONE LIBER SECUNDUS. 53:3)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 53:3)
et tamen hic extis et opimo vincere ferto intendit: (Persius, Satires, satire 2 2:44)
(페르시우스, 풍자, 2:44)
exilis와 macer는 내부적인 상태로 물질이나 수액 등이 부족하여 말라버린 느낌의 날씬함을 나타냄.; exilis (egere, exiguus에서 유래)는 uber의 반의어로, 일반적으로 모든 물질적인 개체에 적용 가능하며 빈곤과 나약하다는 뜻을 내포함, Cic. Or. i. 12;
macer (μακρός, meagre,)는 pinguis의 반의어로, 특히 동물의 신체에 쓰이며 야윈 상태를 나타냄, Virg. Ecl. iii. 100;
반면 gracilis와 tenuis는 외부적인 상태를 지칭하며, 중립적이나 칭찬의 의미로 자주 쓰임;
tenuis (τανύς)는 정교하고 세밀한 뉘앙스를 포함하며, crassus의 반의어로, 일반적으로 모든 신체에 쓰일 수 있음, Cic. Fat. 4. Vitruv. iv. 4;
gracilis는 길쭉한(procerus) 뉘앙스를 포함하며, opimus의 반의어로, 특히 동물의 신체에 쓰임, Cic. Brut. 91; obesus, Cels. i. 3, 30. ii. 1. Suet. Dom. 18. (v. 25.)
1. Pinguis (παχύσ, πάγχυ,) denotes fat, indifferently, or, on its dark side, as that component part of the body that is most without sensation and strength; thence, figuratively, sluggish: whereas opimus (from πιμελής) on its bright side, as a sign of plenty and good living; thence, figuratively, opulent. 2. Obesus denotes fatness, on its dark side, with reference to the unwieldiness connected with it, in opp. to gracilis, Cels. i. 3. ii. 1. Suet. Dom. 18; whereas corpulentus, on its bright side, with reference to the portliness connected with it. (v. 222.)
출처: Döderlein's Hand-book of Latin Synonymes by Ludwig von Doederlein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30%
고전 발음: []교회 발음: []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