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opīmum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형태정보

  • (opīmus의 남성 단수 대격형) 뚱뚱한 (이)를

    형태분석: opīm(어간) + um(어미)

  • (opīmus의 중성 단수 주격형) 뚱뚱한 (것)가

    형태분석: opīm(어간) + um(어미)

  • (opīmus의 중성 단수 대격형) 뚱뚱한 (것)를

    형태분석: opīm(어간) + um(어미)

  • (opīmus의 중성 단수 호격형) 뚱뚱한 (것)야

    형태분석: opīm(어간) + um(어미)

opīmus

1/2변화 형용사; 자동번역 상위5000위 고전 발음: [] 교회 발음: []

기본형: opīmus, opīma, opīmum

  1. 뚱뚱한, 통통한, 부자의, 부유한, 비옥한
  2. 비옥한, 기름진, 다작인
  1. fat, rich, plump, corpulent (person)
  2. fertile, fruitful (land)

격변화 정보

1/2변화
남성 여성 중성
단수 복수 단수 복수 단수 복수
주격 opīmus

뚱뚱한 (이)가

opīmī

뚱뚱한 (이)들이

opīma

뚱뚱한 (이)가

opīmae

뚱뚱한 (이)들이

opīmum

뚱뚱한 (것)가

opīma

뚱뚱한 (것)들이

속격 opīmī

뚱뚱한 (이)의

opīmōrum

뚱뚱한 (이)들의

opīmae

뚱뚱한 (이)의

opīmārum

뚱뚱한 (이)들의

opīmī

뚱뚱한 (것)의

opīmōrum

뚱뚱한 (것)들의

여격 opīmō

뚱뚱한 (이)에게

opīmīs

뚱뚱한 (이)들에게

opīmae

뚱뚱한 (이)에게

opīmīs

뚱뚱한 (이)들에게

opīmō

뚱뚱한 (것)에게

opīmīs

뚱뚱한 (것)들에게

대격 opīmum

뚱뚱한 (이)를

opīmōs

뚱뚱한 (이)들을

opīmam

뚱뚱한 (이)를

opīmās

뚱뚱한 (이)들을

opīmum

뚱뚱한 (것)를

opīma

뚱뚱한 (것)들을

탈격 opīmō

뚱뚱한 (이)로

opīmīs

뚱뚱한 (이)들로

opīmā

뚱뚱한 (이)로

opīmīs

뚱뚱한 (이)들로

opīmō

뚱뚱한 (것)로

opīmīs

뚱뚱한 (것)들로

호격 opīme

뚱뚱한 (이)야

opīmī

뚱뚱한 (이)들아

opīma

뚱뚱한 (이)야

opīmae

뚱뚱한 (이)들아

opīmum

뚱뚱한 (것)야

opīma

뚱뚱한 (것)들아

원급 비교급
형용사 opīmus

뚱뚱한 (이)가

opīmior

더 뚱뚱한 (이)가

부사 opīmē

뚱뚱하게

opīmius

더 뚱뚱하게

제시된 형태 중 음영이 칠해진 것은 실제 코퍼스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규칙에 의해 자동 생성된 것입니다.

예문

  • Valeat res ludicra, si me palma negata macrum, donata reducit opimum. (EPISTVLARVM LIBER SECVNDVS, I 1:78)

    (호라티우스의 두번째 편지, 1 1:78)

  • Commodum meridies accesserat, et mittit mihi Byrrhaena xeniola, porcum opimum et quinque gallinulas et vini cadum in aetate pretiosi. (Apuleius, Metamorphoses, book 2 11:2)

    (아풀레이우스, 변신, 2권 11:2)

  • sed verebar ne si forte sine magistro humano ritu ederem pleraque, rati scaevum praesagium portendere, velut monstrum ostentumque me obtruncatum vulturiis opimum pabulum redderent. (Apuleius, Metamorphoses, book 10 17:4)

    (아풀레이우스, 변신, 10권 17:4)

  • Constrictus etiam Diogenes laqueis impiae falsitatis, vir nobili prosapia editus, ingenio facundia forti suavitateque praestans, dudum Bithyniae rector, ut opimum patrimonium eius diriperetur, capitali est poena affectus. (Ammianus Marcellinus, Rerum Gestarum libri qui supersunt, Liber XXIX, chapter 1 43:1)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사건 연대기, , 1장 43:1)

  • adeo enim nullam spem non potiundi modo, sed ne adeundi quidem Romana moenia animus eorum cepit tectaque procul visa atque imminentes tumuli avertere mentes eorum, ut totis passim castris fremitu orto, quid in vasto ac deserto agro inter tabem pecorum hominumque desides sine praeda tempus tererent, cum integra loca, Tusculanum agrum opimum copiis, petere possent, signa repente convellerent transversisque itineribus per Labicanos agros in Tusculanos colles transirent. (Titus Livius (Livy), Ab Urbe Condita, Liber III 75:1)

    (티투스 리비우스, 로마 건국사, 75:1)

유의어 사전

exilismacer는 내부적인 상태로 물질이나 수액 등이 부족하여 말라버린 느낌의 날씬함을 나타냄.; exilis (egere, exiguus에서 유래)는 uber의 반의어로, 일반적으로 모든 물질적인 개체에 적용 가능하며 빈곤과 나약하다는 뜻을 내포함, Cic. Or. i. 12;
macer (μακρός, meagre,)는 pinguis의 반의어로, 특히 동물의 신체에 쓰이며 야윈 상태를 나타냄, Virg. Ecl. iii. 100;

반면 gracilistenuis는 외부적인 상태를 지칭하며, 중립적이나 칭찬의 의미로 자주 쓰임;
tenuis (τανύς)는 정교하고 세밀한 뉘앙스를 포함하며, crassus의 반의어로, 일반적으로 모든 신체에 쓰일 수 있음, Cic. Fat. 4. Vitruv. iv. 4;
gracilis는 길쭉한(procerus) 뉘앙스를 포함하며, opimus의 반의어로, 특히 동물의 신체에 쓰임, Cic. Brut. 91; obesus, Cels. i. 3, 30. ii. 1. Suet. Dom. 18. (v. 25.)

1. Pinguis (παχύσ, πάγχυ,) denotes fat, indifferently, or, on its dark side, as that component part of the body that is most without sensation and strength; thence, figuratively, sluggish: whereas opimus (from πιμελής) on its bright side, as a sign of plenty and good living; thence, figuratively, opulent. 2. Obesus denotes fatness, on its dark side, with reference to the unwieldiness connected with it, in opp. to gracilis, Cels. i. 3. ii. 1. Suet. Dom. 18; whereas corpulentus, on its bright side, with reference to the portliness connected with it. (v. 222.)

출처: Döderlein's Hand-book of Latin Synonymes by Ludwig von Doederlein

유의어

  1. 뚱뚱한

  2. 비옥한

관련어

시기별 사용빈도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30%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