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어-한국어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clangō

3변화 동사; 상위10000위 고전 발음: [고:] 교회 발음: [고:]

기본형: clangō, clangere, clanguī

  1. 울려 퍼지다, 쨍 소리를 내다
  1. I clang

활용 정보

3변화

예문

  • Manus non tanget eum, sed lapidibus opprimetur aut confodietur iaculis; sive iumentum fuerit, sive homo, non vivet. Cum coeperit clangere bucina, tunc ascendant in montem ". (Biblia Sacra Vulgata, Liber Exodus, 19 19:13)

    그런 자는 아무도 손을 대지 말고, 돌이나 활에 맞아 죽게 해야 한다. 짐승이든 사람이든 아무도 살아남지 못한다.’ 숫양 뿔 나팔 소리가 길게 울리거든, 백성을 산으로 올라오게 하여라.” (불가타 성경, 탈출기, 19장 19:13)

  • " Loquere filiis Israel: Mense septimo, prima die mensis, erit vobis requies, memoriale, clangentibus tubis, conventus sanctus. (Biblia Sacra Vulgata, Liber Leviticus, 23 23:24)

    “너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이렇게 일러라. ‘일곱째 달, 그달 초하룻날은 너희에게 안식의 날이다. 나팔을 불어 기념일임을 알리고 거룩한 모임을 열어야 한다. (불가타 성경, 레위기, 23장 23:24)

  • et clanges bucina mense septimo, decima die mensis expiationis die clangetis tuba in universa terra vestra. (Biblia Sacra Vulgata, Liber Leviticus, 25 25:9)

    그 일곱째 달 초열흘날 곧 속죄일에 나팔 소리를 크게 울려라. 너희가 사는 온 땅에 나팔 소리를 울려라. (불가타 성경, 레위기, 25장 25:9)

  • Si semel clangueris, venient ad te principes et capita congregationis Israel; (Biblia Sacra Vulgata, Liber Numeri, 10 10:4)

    하나만 불면, 수장들 곧 이스라엘 부족의 우두머리들이 너에게 모여 오게 하여라. (불가타 성경, 민수기, 10장 10:4)

  • Tum ie/core opimo fa/rta et satiata a/dfatim Clango/rem fundit va/stum et sublime a/volans Pinna/ta cauda no/strum adulat sa/nguinem. (M. Tullius Cicero, Tusculanae Disputationes, book 2 24:2)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투스쿨라눔의 대화, 2권 24:2)

유의어 사전

Clangere is the cry of animals and the clang of instruments, like κλάγγειν; clamare and vociferari, the cry of men; clamare, an utterance of the will, but vociferari, of passion, in anger, pain, in intoxication. Rhet. ad. Her. iii. 12. Acuta exclamatio habet quiddam illiberale et ad muliebrem potius vociferationem, quam ad virilem dignitatem in dicendo accommodatum. Senec. Ep. 15. Virg. Æn. ii. 310. Exoritur clamorque virum clangorque tubarum. (v. 103.)

출처: Döderlein's Hand-book of Latin Synonymes by Ludwig von Doederlein

관련어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수사

시기별 사용빈도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07%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