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발음: []교회 발음: []
형태정보
기본형: ūber, ūberis
남성 | 여성 | 중성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ūberrimus 가장 비옥한 (이)가 | ūberrimī 가장 비옥한 (이)들이 | ūberrima 가장 비옥한 (이)가 | ūberrimae 가장 비옥한 (이)들이 | ūberrimum 가장 비옥한 (것)가 | ūberrima 가장 비옥한 (것)들이 |
속격 | ūberrimī 가장 비옥한 (이)의 | ūberrimōrum 가장 비옥한 (이)들의 | ūberrimae 가장 비옥한 (이)의 | ūberrimārum 가장 비옥한 (이)들의 | ūberrimī 가장 비옥한 (것)의 | ūberrimōrum 가장 비옥한 (것)들의 |
여격 | ūberrimō 가장 비옥한 (이)에게 | ūberrimīs 가장 비옥한 (이)들에게 | ūberrimae 가장 비옥한 (이)에게 | ūberrimīs 가장 비옥한 (이)들에게 | ūberrimō 가장 비옥한 (것)에게 | ūberrimīs 가장 비옥한 (것)들에게 |
대격 | ūberrimum 가장 비옥한 (이)를 | ūberrimōs 가장 비옥한 (이)들을 | ūberrimam 가장 비옥한 (이)를 | ūberrimās 가장 비옥한 (이)들을 | ūberrimum 가장 비옥한 (것)를 | ūberrima 가장 비옥한 (것)들을 |
탈격 | ūberrimō 가장 비옥한 (이)로 | ūberrimīs 가장 비옥한 (이)들로 | ūberrimā 가장 비옥한 (이)로 | ūberrimīs 가장 비옥한 (이)들로 | ūberrimō 가장 비옥한 (것)로 | ūberrimīs 가장 비옥한 (것)들로 |
호격 | ūberrime 가장 비옥한 (이)야 | ūberrimī 가장 비옥한 (이)들아 | ūberrima 가장 비옥한 (이)야 | ūberrimae 가장 비옥한 (이)들아 | ūberrimum 가장 비옥한 (것)야 | ūberrima 가장 비옥한 (것)들아 |
원급 | 비교급 | 최상급 | |
---|---|---|---|
형용사 | ūber 비옥한 (이)가 | ūberior 더 비옥한 (이)가 | ūberrimus 가장 비옥한 (이)가 |
부사 | ūberiter 비옥하게 | ūberius 더 비옥하게 | ūberrimē 가장 비옥하게 |
제시된 형태 중 음영이 칠해진 것은 실제 코퍼스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규칙에 의해 자동 생성된 것입니다.
sumentur enim ex eis rebus, quae erunt uberrimae vel in argumentis vel in eis partibus, ad quas dixi digredi saepe oportere; (M. Tullius Cicero, De Oratore, LIBER SECUNDUS 319:2)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웅변가론, 319:2)
nam tuae breves, priores erant [litterae] uberrimae. (M. Tullius Cicero, Letters to Atticus, LIBER SEXTVS DECIMVS AD ATTICVM, letter 15 9:3)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아티쿠스에게 보낸 편지들, , 9:3)
Tuae nunc partes, ut primum illam, deinde hanc remunereris litteris, quales istinc redire uberrimae possunt. (Pliny the Younger, Letters, book 2, letter 12 7:1)
(소 플리니우스, 편지들, 2권, 7:1)
Quintus autem ordo exsultationis uberrimae habet suavitatem, quod ex hoc corruptibilis corporis carcere in lucem libertatemque pervenerint, et repromissam sibi possideant haereditatem. (Sanctus Ambrosius, De Bono Mortis, Caput XI 2:7)
(성 암브로시우스, 죽음의 복됨, 11장 2:7)
hinc resultantes uberrimae guttae mensam cruore perspergunt. (Apuleius, Metamorphoses, book 9 31:3)
(아풀레이우스, 변신, 9권 31:3)
1. Fœcundus (from φύω, fœtus,) denotes the fruitfulness of a living and breeding being, in opp. to effatus, like εὔτόκος; whereas fertilis and ferax (from (φέρω) the fruitfulness of inanimate and productive nature, and of the elements, opposed to sterilis, like εὔφορος. Tac. Ann. xii. 63. Byzantium fertili solo fœcundoque mari, quia vis piscium hos ad portus adfertur. Germ. 5. Terra satis ferax, frugiferarum arborum impatiens, pecorum fœcunda, sed plerumque improcera. Mela. i. 9, 1. Terra mire fertilis et animalium perfœcunda genetrix. And ii. 7. 2. Fertilis denotes the actual fruitfulness which has been produced by cultivation; ferax, the mere capability which arises from the nature of the soil. Cicero uses fertilis in a proper, ferax, in a figurative sense. 3. Fertilis and ferax denote fruitfulness under the image of creative and productive power, as of the father and mother; uber, under the image of fostering and sustaining, as of the nurse, like εὐθηνής; frugifer, under the image of a corn-field; fructuosus, under that of a tree rich in fruit, like ἔγκαρπος. (iv. 831.)
출처: Döderlein's Hand-book of Latin Synonymes by Ludwig von Doederlein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54%
고전 발음: []교회 발음: []
장음표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