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어-한국어 사전

라틴어-한국어 사전 검색

abripuērunt

고전 발음: [에:] 교회 발음: [에:]

형태정보

  • (abripiō의 완료 능동태 직설법 3인칭 복수형 ) (그들은) 강탈했다

    형태분석: abripu(어간) + ērunt(인칭어미)

abripiō

3변화 io 변화 동사; 상위5000위 고전 발음: [표:] 교회 발음: [표:]

기본형: abripiō, abripere, abripuī, abreptum

어원: ab(~로부터, ~에 의해) + rapiō(잡다, 낚다)

  1. 강탈하다, 낚아채다, 빼앗다
  2. 날려버리다, 휩쓸어가다 (비유적으로)
  3. 채어가다, 제거하다, 분리하다 (비유적으로)
  4. 낭비하다, 탕진하다 (비유적으로)
  1. I take away (by violence); snatch, drag or tear off or away.
  2. (figuratively, of rivers) I wash, blow away.
  3. (figuratively) I carry off, remove, detach.
  4. (figuratively) I squander, dissipate.

활용 정보

3변화 io 변화

예문

  • Abripuerunt pupillum ab ubere et pauperem pignori sumpserunt; (Biblia Sacra Vulgata, Liber Iob, 24 24:9)

    그들은 아버지 없는 자식을 젖가슴에서 빼앗아 가고 가련한 이가 위에 걸친 것을 담보로 잡는다네. (불가타 성경, 욥기, 24장 24:9)

  • itaque, ne in conspectos procul immitteretur eques, sublatis raptim signis quam citatissimo poterant agmine sese abripuerunt. (Titus Livius (Livy), Ab Urbe Condita, Libri XXII 76:1)

    (티투스 리비우스, 로마 건국사, 76:1)

  • Qui impatiens est, sustinebit multam; et, si eum abripere vis, aliud appones. (Biblia Sacra Vulgata, Liber Proverbiorum, 19 19:19)

    화를 잘 내는 자는 벌을 받는다. 네가 그를 구해 주려 하면 화를 돋울 뿐이다. (불가타 성경, 잠언, 19장 19:19)

  • Qui abripit aliquid a patre suo et a matre et dicit: " Hoc non est peccatum ", particeps homicidae est. (Biblia Sacra Vulgata, Liber Proverbiorum, 28 28:24)

    제 아버지와 어머니를 강탈하고도 “죄 없다!” 하는 자 그는 살인자와 한통속이다. (불가타 성경, 잠언, 28장 28:24)

  • Subito enim veniet ira illius, et in tempore vindictae abripieris. (Biblia Sacra Vulgata, Liber Ecclesiasticus, 5 5:9)

    아무 바람에나 키질하지 말고 아무 길에나 들어서지 마라. 두 혀를 지닌 죄인의 짓이 그러하다. (불가타 성경, 집회서, 5장 5:9)

유의어

  1. 강탈하다

  2. 날려버리다

  3. 채어가다

    • abdūcō (제거하다, 빼앗다, 치우다)
    • secor (떼다, 채어가다)
    • abiungō (제거하다, 나누다, 분리하다)
  4. 낭비하다

    • mordeō (낭비하다, 헤프게 쓰다)
    • dissipō (흩어지다, 퍼뜨리다, 뿌리다)
    • dīluō (흩뜨리다, 낭비하다)
    • discutiō (흩뜨리다, 분산시키다)
    • ēbibō (낭비하다, 헤프게 쓰다)
    • helluor (낭비하다, 헤프게 쓰다)
    • prōfundō (낭비하다, 헤프게 쓰다)

관련어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파생어

시기별 사용빈도

전체 데이터 내 출현빈도: 약 0.0022%

SEARCH

MENU NAVIGATION